제보
주요뉴스 문화

강화중성에서 목책 치·외황 첫 발견…"고려 도성 보존·정비를 위한 자료 축적"

기사등록 : 2018-12-06 15: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문화재청 "성벽 외부에 치와 외황 발견된 것은 처음"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재)한백문화재연구원(원장 서영일)에서 조사 중인 인천시 강화군 옥림리 주택신축부지에 대한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 강화중성(강화군 향토유적 제2호)의 목책 치와 외황이 처음 확인됐다.

고려 조정은 1232년(고종 19년) 몽골 침략에 맞서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했다. 강화는 1270년(원종 11년)까지 38년간 개경을 대신해 고려의 도성 역할을 했다. 대몽항쟁 당시 강화도성은 내성을 비롯해 외성과 중성 등이 차례로 축조돼 모두 세 겹의 성겹이 겹겹이 둘러싼 요새를 구축했었다.

조사지역 전경 [사진=문화재청]

이 중 '강화 중성'은 흙을 다져 조성한 약 8.1km에 달하는 토성으로 이번에 발견한 목책 치(雉, 성벽에서 돌출시켜 쌓은 방어시설)와 외황(外隍, 성벽 밖에 둘러 판 물 없는 도랑)이 확인된 지점은 강화중성이 시작하는 강화읍 옥림리의 옥창돈대 부근에 해당한다.

조사결과 강화중성 토성벽에서 밖으로 돌출된 능서부에서 고려 시대 강화 중성과 함게 만들어진 방어시설로 목책 구덩이, 외황, 초소 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 밖에 신라토기 폐기장이 확인돼 신라 시대부터 이곳에 군사목적의 방어시설이 존재했을 가능성도 확인됐다.

목책 구덩이는 모두 9기가 확인됐다. 능선을 따라 한줄(1열)을 이루는 형태로 이는 성벽 외부로 돌출된 능선에 치를 만들었던 흔적으로 추정된다. 목책 구덩이는 목책에 사용됐던 나무 기둥을 뽑아내기 위해 인위적으로 기둥자리를 파내고 파낸 흙으로 다시 메운 상태다.

'고려사절요'의 기록(권 17 고종 46년 6월)에 따르면 몽골은 고려와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강화협정을 맺으면서 강화도성을 허물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강화협정이 이루어진 후 실제로 몽골 관리가 성벽을 허무는 과정도 감시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번 조사에서 기록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강화중성의 일부인 목책을 인위적으로 허물고 다시 메운 흔적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됐다.

외황은 목책 치를 두 겹(외황1·외황2)으로 둘러싸고 있다. 외황1은 풍화암반층을 'L'자형으로 파고 바깥쪽을 돌과 흙으로 성벽처럼 다져 올려 도랑을 만들었다. 외황2는 풍화암반층을 U자형으로 파낸 흙을 바깥쪽으로 쌓아 올려 만들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강화중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흙을 다져 쌓은 토성으로 확인된 적은 있었지만 성벽 외부에서 치나 외황과 같은 별도의 방어시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강화중성의 성벽 구조와 형태를 규명했고 앞으로 고려 도성의 보존·정비를 위한 새로운 자료를 축적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