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국내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성공적인 4차산업혁명 지능화 혁신을 이룰 경우 오는 2030년까지 최대 630조원의 경제효과 창출이 기대된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제출한 4차산업혁명 대응 추진 방향 및 향후 계획 안건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4차 산업혁명의 지능화 혁신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오는 2030년까지 신규 지능화 산업 창출로 240조원, 기존 사업 활동 개선으로 390조원이 각각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별로는 의료(150조원), 제조(150조원), 도시(105조원), 금융(80조원) 등의 순으로 막대한 파급효과가 전망된다.
4차위원회 위원장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장병규 위원장 [사진=성상우 기자] |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는 2030년까지 최대 730만개 신규 일자리 추가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능화기술 분야에서는 210만개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자율진단 기기 프로그래머 등 소프트웨어(SW) 분야 80만개를 비롯해 △가사 로봇, 지능화 설비 제작 등 하드웨어(HW) 분야 30만개 △디지털 헬스케어 등 지능화 기술 파생 생태계 분야 100만개 등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예측된다.
하지만 지능화 혁신이 지체되는 경우 오는 2030년까지 경제효과는 280조원, 일자리 창출은 500만개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 범주로 보면 지능화 혁신으로 2030년까지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이 약 16% 증가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자동화 확대로 2030년까지 전 세계 일자리의 15∼30% 수준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2030년까지 국내 전체 노동시간 중 27% 정도(국내 일자리 700만개 규모)에 대해 자동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기존 인력의 직무 전환, 일자리 이동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 시점은 우리나라 경제‧사회의 발전의 변곡점”이라며 “우리의 뛰어난 인적자원과 제조업 역량,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바탕으로 산업지형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과감한 규제개선, 제도개혁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