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대한민국이 술독에 빠졌다. 과음은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음주운전, 주폭을 늘려 사회를 병들게 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성인 10%가 알코올 중독이며 하루 평균 13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 연말이 되면 더 잦아지는 술자리, '술이 사람을 먹는' 현 세태를 짚어봤다.
[서울=뉴스핌] 김세혁 기자 = 한국은 술을 지나치게 빨리, 많이 마시는 잘못된 술문화로 유명하다. 스트레스를 술로 풀다 보니 알코올 사용장애(중독)가 늘고, 타인의 주량을 모른 채 술을 강권하다 사망사고로 이어지기까지 한다. 특히 요즘 같은 연말은 회식 등 모임이 잦아 술이 사람을 먹는 사태가 종종 벌어진다.
◆“부어라~마셔라~”…술독에 빠진 대한민국
아직도 우리사회에선 회사 등 수직적 조직의 술 강요가 일상처럼 벌어진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폭음’ 한 단어로 설명 가능한 우리나라 술문화는 세계적으로도 악명이 높다. 당연히 각종 질환이 많고 경제적 손실도 어마어마하다.
17일 통계청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알코올 질환으로 숨진 사람은 4809명이다. 하루 13명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인구 10만명 당 9.4명이 술로 사망했는데, 한창 일할 50~59세가 22.8명, 40~49세가 11.8명으로 1, 2위였다.
주 2회 이상 술을 마시는 ‘고위험 음주율’은 14.2%로 전년보다 0.4%p 늘었다. 15세 이상 인구의 폭음률은 30.5%로 세계 평균 18.2%의 두 배에 가깝다. 한국인의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2015년 9.1ℓ에서 2016년 8.7ℓ로 다소 줄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체 평균보다는 여전히 0.5ℓ 많다.
술 소비가 많다 보니 관련 질환도 증가세다. 복지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의 알코올 사용 장애 유병률은 13.9%로 세계보건기구(WHO) 회원국 194개국 중 무려 4위다. 알코올 의존증 비율은 5.5%로 세계 평균(2.6%)의 2배를 넘는다.
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에탄올은 인체에서 분해돼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변하는데, 이는 WHO가 정한 발암물질이다. 이 물질은 인체 효소인 ALDH가 분해해야만 무해한 아세트산(식초산)으로 변한다.
문제는 ALDH가 우리나라가 속한 동북아시아 사람들에게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WHO에 따르면 동북아 사람 30~40%는 유전적으로 이 효소가 없다. 즉, 강권하는 술을 억지로 받아마실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지 못해 각종 질병에 시달릴 수 있다.
폭음은 음주운전이나 주폭 등 각종 사고로 이어져 사회를 병들게 한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전체 교통사고 중 9%(1만9517건)나 됐다. 살인이나 강도, 강간을 저지른 흉악범 중 30%(1만121명)는 술을 마신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다.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손실은 지난해 9조4000억원에 달했다.
알코올 의존증을 치료하기 위한 시설인 구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2018.12.14 [사진=김세혁 기자] |
스트레스를 술로 푸는 문화는 의존증을 늘려 특히 위험하다. 한국중독연구재단(KARF)은 “알코올 사용장애는 갑자기 찾아오는 게 아니라 서서히 의존도가 높아진다”며 “음주횟수와 양·과음·폭음의 회수 및 증가, 음주조절 불가 회수, 취중실수 회수 등을 스스로 체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알코올 사용장애는 공격적 언행, 가정불화로 이어질 수 있고, 갑자기 끊을 경우 금단현상으로 흥분, 경련, 불안 등이 나타날 수 있다”며 “신체적 치료가 필요한 만성진행형 질환인 만큼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남성중심·수직적 사회가 술권하는 분위기 주도
술을 강권하는 문화는 우리나라 사회적 특성과도 무관하지 않다. 술 소비량이 많은 직장인들은 대부분 수직적 조직사회에 몸담고 있다. 술 소비를 국가적으로 줄이는 일본은 절대 술을 강권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은 정반대다. 최근 벼룩시장이 성인남녀 직장인 947명을 대상으로 ‘연말에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를 물은 결과, 12.7%가 “술 마실 생각에”라고 답했을 정도다.
윗사람이 권하는 술을 아랫사람이 거절하면 예의가 없다는 잘못된 인식도 문제다. 술로 권위를 세우려는 어긋난 생각은 특히 위험하다. 대학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때마다 벌어지는 술 관련 사고는 우리사회의 술문화가 얼마나 비틀려 있는지 보여준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생 31%가 억지로 술을 마신 경험이 있다. ‘신입생 환영회’에서 그랬다는 응답이 29.2%로 가장 많았다. 이런 이유로, 대학 신입생 환영회에서는 술로 인한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2006년부터 10년간 억지로 술을 먹다 숨진 대학생 수만 22명이다.
구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김용진 센터장은 “알코올 중독도 금연정책처럼 대대적인 국가 차원의 캠페인이 필요하다”며 “금연의 경우 故 이주일 씨처럼 캠페인을 벌이거나 국가 예산도 투입하는데 알코올 관련해선 1년에 20억~30억원이 고작이다. 주세를 많이 걷는 우리나라는 정작 이를 통해 건강증진기금 같은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다. 예산이 있는 곳에 예방활동도 있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고 아쉬워했다.
starzoob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