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연초 외국인의 ‘바이(Buy) 코리아’ 행렬이 심상치 않다. 국내외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외국인의 국내 주식 쇼핑이 꾸준하다.
올해 외국인투자자들은 코스피시장 기준 국내 주식 3조2626억원 가량을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2조6643억원을 팔아치운 개인과 6239억원을 매도한 기관과는 반대 행보다.
순매수 기조 역시 꾸준하다. 최근 15거래일 중 하루를 뺀 나머지 14거래일에서 매수 우위를 기록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때 2000선이 붕괴되기도 했던 코스피는 반등에 성공하며 최근 2170선까지 고점을 끌어올렸다.
이 같은 움직임은 금리 인상에 대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조 변화와 궤를 같이 한다.
작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전까지만 해도 시장에선 미 연준이 올해 최대 네 차례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했다. 하지만 막상 12월 회의에서 연준은 2019년 경기 전망을 통해 2회 이상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전보다 후퇴된 의견을 내놨다. 최근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최근 통화정책 관련 유연성과 인내심을 강조하는 발언을 내놓으며 인상 횟수가 더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는 지난해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에 어려움을 겪던 신흥국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각국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에 맞게 통화정책을 펼칠 수 있는 여지가 넓어지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도 한층 완화된 것이다. 작년 11월 금리인상에 나선 한국은행 역시 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인상 스탠스 변화와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심리가 개선됐다”며 “향후 FOMC라는 이벤트와 미·중간 무역협상 추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작년 하반기 내내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달러가 약세로 돌아선 것도 또 다른 호재로 꼽힌다. 달러 강세가 진정되면서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 주식시장으로 이동할 유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글로벌 증시 대조정이 발생했던 지난해 10월 환율은 달러당 1140원대에서 형성됐다. 반면 최근에는 1117원까지 떨어진 상태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 주식시장이 둔화되고 달러 약세가 나타날 경우 그간 미국에 집중됐던 자금이 여타 지역으로 옮겨가게 된다”며 “미국을 위시한 선진국에 몰렸던 자금이 신흥국 주식시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런 글로벌 펀더멘탈 측면 외에 국내 기업 자체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최근 2년간 고점 대비 저평가 수준에 위치한 만큼 투자 매력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현재 외국인들은 가격 및 밸류에이션 매력에 근거한 투자전략을 수행하고 있다”며 “글로벌, 특히 신흥국 내에서 코스피 매력이 최상위권이므로 현재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