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7년차인 지난해 양국간 상품 교역이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수입과 수출이 모두 늘어 양국의 윈-윈(win-win) 관계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FTA 발효 후 대미(對美) 교역 동향 [자료=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
1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한·미 FTA 발효 7년차 교역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양국간 상품 교역은 1316억달러로 전년대비 10.3% 증가했다. 서비스 교역도 2017년 기준 462억달러로 전년대비 7.2% 늘었다.
◆ 상품 교역은 수출·수입 모두 증가…서비스 교역은 수입 크게 늘어
상품 교역은 수출과 수입이 모두 증가했다. 작년 기준 한국의 대미(對美) 수출은 반도체(90.6% 증가)와 석유제품(15.7%), 건설기계(32.4%) 등의 가파른 성장으로 전년대비 6.0%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전세계 수출 증가율(5.4%) 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수입의 경우 국제유가가 상승한 가운데 미국산 원유 수입량이 354%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16.2% 늘었다. 미국산 셰일가스 생산 증가에 따라 액화천연가스(LPG) 수입도 50.3% 증가했으며, 천연가스 수입도 179.2% 늘었다.
이에 따라 국내 수입시장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다. 지난해 미국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11.0%로 일본(10.2%)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FTA가 처음으로 발효된 2012년과(8.3%) 비교하면 점유율이 2.7%포인트 늘었다.
[자료=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
서비스 교역의 경우 수출은 전년대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수입은 크게 증가했다. 2017년 기준 서비스 수출은 149억달러로 집계됐다. 여행(26.2%) 및 통신(110.9%) 수출은 증가했으나 R&D·법률·회계 등 기타사업서비스 분야 수출이 3.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발효 후 6년(2012~2017년)을 기준으로 보면 기타사업서비스(21.1%)와 여행(10.7%), 통신서비스(69.8%) 모두 수출이 크게 증가해 2011년 대비 서비스 수출은 평균 3.2% 늘었다.
서비스 수입은 313억달러로 전년대비 10.3% 늘었다. 특히 수입 비중이 높은 기타사업서비스(25.6%)가 성장하면서 전체 수입을 견인했다. 지식재산권사용료도 전년대비 1.3% 증가했으나, 운송(-3.4%) 수입은 감소했다.
산업부는 "미중 무역갈등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상품교역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평가하고 "2018년 한미 교역액은 한국 총 교역의 11.5%로, 미국은 한국의 제2위 교역상대국"이라고 밝혔다.
◆ 무역수지는 점차 감소…상품 수지 흑자 줄고 서비스 수지 적자는 확대
무역수지 흑자 폭은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 수지는 발효 후 4년간 흑자가 유지됐으나, 2016년 이후 흑자폭이 줄어들고 있다. 서비스 수지는 발효 후 6년 내내 적자를 유지하고 있다.
작년 기준 상품 수지는 138억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년대비 흑자 폭이 22.9% 감소했다. 지난 2012년 FTA가 발효된 후 상품 수지는 계속 증가해 2015년 258억달러로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2016년부터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특히 2017년부터는 감소폭이 20%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이다.
상품 수지는 수출입이 모두 증가한 가운데 특히 원유·LPG 등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무역수지 흑자폭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비스 수지는 2017년 기준 163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발효 후 6년을 기준으로 보면 발효 전(2011년)과 비교해 서비스 수지 적자는 평균 20.6% 증가했으며, 특히 2015년 이후 적자가 더욱 가파르게 확대됐다.
특히 기타사업서비스 부문에서 무역수지가 악화되면서 전체 서비스 수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017년 기준 기타사업서비스 수지는 42억4000만달러 적자로, 2016년(19억달러 적자)과 비교해 적자가 2배 이상 늘었다.
[자료=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
투자 부문에서는 지난해 미국이 제조업과 신산업(바이오·전자상거래 등) 분야에서 한국 투자를 크게 늘리면서 역대 최고치인 58억8000만달러(신고기준)를 기록했다. FTA 발효 후 7년(2012~2018년)간 한국의 누적 대미 투자유치액은 308억달러로, 발효 전(2005~2011년)과 비교해 2.2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대미투자는 크게 줄었다. 지난해 한국은 108억1000만달러(송금기준)를 미국에 투자했는데 이는 전년대비 28.7% 감소한 수치다. 2016~2017년 기간동안 삼성전자의 하만 인수 등 대형 인수합병(M&A)이 추진되면서 대미 투자액이 급증한 것에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된다. 발효 후 7년간 대미 투자는 644억달러로, 발효 전과 비교해 2.4배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는 "화공, 기계장비 등 전통적인 주력산업은 여전히 강세를 유지했으며, 바이오·전자상거래 등 신성장 산업분야에서의 새로운 투자도 지속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