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DMZ' 철조망이 평화의 종과 탑으로 재탄생…'DMZ'전 내일 개최

기사등록 : 2019-03-20 15:0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문화역서울 284에서 5월6일까지…이불·안규철·백승우 등 참여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GP의 철조망이 예술작품으로 변모했다. 비무장지대(DMZ)에서 철거한 철조망은 예술인들의 손을 거쳐 평화의 종, 탑으로 재탄생했다. 남북분단의 상징에서 평화의 아이콘으로 변신한 이들 예술작품이 서울 중구 통일로 1번지 문화역서울 284에서 시민들과 만난다.

김선정 (재)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를 주축으로 2011년부터 이끌어온 DMZ 프로젝트가 올해는 'DMZ'전으로 관람객을 찾아온다. 문화역서울 284의 전시 제안으로 남북을 연결했던 경의선 열차의 출발점인 문화역서울 284에서 오는 21일부터 전시를 개최하게 됐다.

안규철 작가 'DMZ 평화의 종' [사진=문화역서울 284]

김선정 대표이사는 20일 문화역서울 284에서 열린 'DMZ'전 간담회에서 "DMZ와 관련한 공간적·시간적 의미를 짚어보는 전시다. 미디어와 영상, 회화 등 다양한 작품이 펼쳐진다"고 소개했다.

전시장 중앙에는 안규철 작가의 'DMZ 평화의 종'이 설치돼있다. GP 철조망으로 만든 작품이다. 올초 국방부는 GP 철조망으로 작품을 만들 계획이 있는 일부 예술인들에게 철조망 사용을 허용했다. 안 작가는 지난 1월 10여명의 작가들과 GP를 둘러봤고 철조망을 전달 받았다. 분단의 아픔에서 '평화의 장소'로 거듭나는 GP에는 철조망이 제거됐다. 그리고 무게 300kg를 자랑하는 'DMZ 평화의 종'으로 태어났다.

현장에서 만난 안규철 작가는 "감시초소형 종탑이다. 철조망을 녹여 무쇠로 된 종을 만들었다. 1953년에 DMZ가 생겼으니 지금까지 철조망이 밖으로 나온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DMZ가 없어진다면 철조망을 무엇으로 바꿀 수 있을까 고민하다 '종소리'를 떠올렸다. 물리적 장벽을 이뤘던 것을 한자리로 모으는 소리인 셈"이라고 덧붙였다. 전시 기간 중에는 타이머가 설치돼 일정 시간 종 소리가 울려펴질 예정이다.

문경원-전준호의 '프리덤 빌리지', 백승우의 '마이라이프 인 워', 정연두의 '을지극장'(위로부터)[사진=문화역서울 284]

종의 무게는 90kg이다. 여기에 GP 철조망 10kg 분량이 사용됐다. 작가는 "생각보다 종소리가 좋진 않다. 쇠가 질겨야 소리가 잘 난다. 예전에는 무쇠로, 지금은 청동으로 만드는 추세다. 망간을 넣으면 소리가 더 잘 날 거다. 향후에 남은 철조망으로 소리에 집중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작가는 '소리'에 집중하는 이유에 대해 "장벽이 없는 미디어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새들이 넘어가듯, 소리는 물리적인 구조물이 가로막고 있어도 바뀌어 퍼져나간다"고 말했다. 이어 "평화에 대해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이번 전시 장소가 문화역서울 284인데, 주소가 통일로 1번지다.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장소"라고 강조했다.

전시장 한켠에는 올해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 참여 작가인 이불의 작품도 볼 수 있다. 작가는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디어 스케치 No.2-인피티니 타입 B'와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디어 스케치', 설치작품 '오바드 V를 위한 스터디'를 전시한다.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디어 스케치'는 DMZ에 설치됐으나 더 이상 본래 목적으로 활용되지 않는 구조물들의 형태를 활용한 작품 스케치다. 전작은 소이산 입구에 위치한 망루형 벙커를 활용한 작품 안이다. 후작에는 벙커 내부에 다각도로 분절된 거울 조각을 부착해 망루 밖 남한과 북한의 가족이 함께 살 수 있기를 바라는 작가의 염원이 담겨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문화역서울 284에서 'DMZ'전에서 소개하는 작품을 설명중인 이불 작가 2019.03.20 89hklee@newspim.com

설치물 '오바드 V를 위한 스터디'는 4m 크기의 원형을 축소한 것으로 이 역시 GP의 철조망으로 만들 예정이다. 현장에서 만난 이불 작가는 "최근 7개 GP에서 나온 재료 중 철만 모아 녹여서 만든 타워다. 원 디자인의 20%를 축소한 것"이라며 "날개와 날개 사이에 깃발과 모스, 무전용 시그널 등 텍스트가 형형색색으로 올라갈 것"이라고 예고했다.

DMZ에 대한 이미지를 '홍보'와 '세뇌'로 갖고 있는 작가 백승우의 '마이 라이프 인 워'도 흥미롭다. 그의 작품은 역사 내 광고판처럼 높은 곳에 배치돼 있다. 광고판으로 주로 쓰이는 트라이비전 6개는 3면이 변화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보여준다.

백 작가는 "군대는 세뇌되는 공간으로 교육받았다. 그래서 광고판 형식으로 홍보라는 세뇌된 이미지를 사용했다. 실제로 DMZ 현장, 철거, 예비군 훈련장 사진 등이 삽입돼 있다. 모두 제 머릿속에 고정된 이미지로 채집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전시장에는 DMZ의 과거와 현재, 역사를 볼 수 있는 아카이빙 사진과 자료들이 가득하다. 서측복도와 TMO에서는 DMZ의 생명환경을 보여준다. 248km에 이르는 DMZ는 경기 파주부터 강원 고성에 이르는 한반도의 생태횡축이다. 이번 전시는 고성에서 백령도까지 전망대를 중심으로 DMZ 접경지역을 아카이브한 작업과 지형, 풍경에 주목한다. DMZ 식물들을 다룬 생태계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전시는 21일 개막해 오는 5월 6일까지 문화역서울 284에서 이어진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