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뉴질랜드, 반자동 소총 판매 금지한다...총기 회수 실시 계획

기사등록 : 2019-03-21 16:3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민지현 기자 = 지난 15일 이슬람 사원에서 총기 테러로 50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뉴질랜드가 21일(현지시간) 군용식 반자동 및 공격용 소총 판매를 금지키로 했다.

이날 로이터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지난 15일 총기 테러 이후 뉴질랜드 역사가 영원히 바뀌었고 이제는 법이 바뀔 것"이라며 "뉴질랜드 국민을 대신해 총기법을 강화하고 이 나라를 안전한 곳으로 만들기 위한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금지) 법안이 다음 달 11일부터 시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전국적인 총기 회수 제도를 실시하고 이미 판매된 무기를 회수하기 위한 자진신고 기간도 부여할 것이라고 했다.

뉴질랜드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 1996년 이웃 나라 호주 포트아서에서 발생한 28살 청년의 총기난사 사건으로 35명이 숨진 이후 호주 정부가 총기법을 전면 개정한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FT는 뉴질랜드로 이사온지 2년이 되지 않은 호주 국적인 브렌턴 태런트(28)가 뉴질랜드 역사상 최악의 테러범으로 기소됐다고 전했다. 

뉴질랜드의 느슨한 총기 규제는 비판을 받아왔다. 뉴질랜드에서는 16세부터 총기 소유 면허를 취득할 수 있고 18세부터는 반자동 소총을 구매할 수 있다. 이날 오전 더욱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하는 6만5000개의 청원이 올라왔다.

한편 총기 테러 현장이 인터넷 매체를 통해 생중계되면서 영상물이 빠르게 확산되자, 뉴질랜드 투자자들은 페이스북이나 유튜브, 트위터 등 미국 기술 기업들이 폭력적이거나 극단적인 게시물 제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요구했다.

주요 국부펀드인 뉴질랜드 슈퍼펀드의 매트 워너레이 최고경영자는 "소셜 미디어 업체들의 라이선스는 심각하게 훼손됐다"며 "하루빨리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가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03.21.

jihyeonmi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