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문화

세계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넷플릭스

기사등록 : 2019-03-28 10: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4명까지 동시접속 지원…해외서도 사용 가능
중국선 사용 불가…"자문화 중심 정책 때문"

[편집자]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Netflix)의 기세가 대단합니다. ‘발상의 전환’으로 탄생한 넷플릭스는 콘텐츠 소비형태와 제작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으면서 무서운 속도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세계 1억4000만 유료회원을 거느린 넷플릭스의 경쟁력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향후 발전 가능성과 우려되는 문제점을 함께 들여다봤습니다.


①넷플릭스, 어떻게 사람들을 끌어들일까
②미디어 왕국 넷플릭스를 움직이는 사람들
③전문가들이 바라보는 넷플릭스의 경쟁력
④영화계와 넷플릭스, 공생할 수 있을까
⑤넷플릭스와 손잡는 국내 연예계, '킹덤'만큼 성공할까
⑥세계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넷플릭스
⑦정부, 거대자본 넷플릭스 대응 문제없나
⑧넷플릭스, 디즈니·애플 도전장에도 '스트리밍 시장' 왕좌 지킬까

[서울=뉴스핌] 김유정 기자 = 넷플릭스는 자체 콘텐츠 생산 덕분에 190개 넘는 국가에 1억4000만명의 유료 회원을 보유했다. 자체 콘텐츠는 물론 방송국, 제작사와 제휴를 통해 다양한 장르와 언어로 TV시리즈, 다큐멘터리, 장편영화를 공급한다. 뭣보다 190개국 어디서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이 수많은 사람이 넷플릭스에 열광하는 이유로 평가된다. 

해외에서 푹 영상을 플레이하면 '재생에 실패했다'고 표시되며 재생이 되지 않는다. [사진=푹 앱 캡쳐]

한국형 넷플릭스라는 푹이나 티빙은 자체 콘텐츠가 없을뿐더러 개발 기반이 달라 일부 방송국과 제휴를 맺지 않았다. 그런 이유로 전체 방송국의 콘텐츠를 다 볼 수 없다. 게다가 해외 아이피를 제한시켜 놓았기 때문에 한국 밖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한해 3000만명이 여행이나 출장 등으로 해외로 나가는 요즘, 국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은 아무래도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푹은 한달에 1만900원, 티빙은 1만1900원으로 사용료가 월 1만원 이상 넘어간다는 점이 넷플릭스의 인기상승을 더 가속화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넷플릭스 요금제 [사진=넷플릭스]

실제로 넷플릭스는 한 명이 이용하는 베이직 요금제가 월 9500원으로 1만원이 안 된다. 2명부터 1만2000원, 4명 동시 접속이 가능한 요금제는 1만4500원이다. 넷플릭스와 달리 국내 플랫폼은 한국에서만 이용 가능하고 동시접속도 불가능하다. 넷플릭스 요금제는 함께 이용할수록 저렴한 데다, 동시 접속이 가능하고 각자 플레이 리스트가 생성되므로 '취향' 따라 영상을 편하게 즐길 수 있다.

하지만 넷플릭스도 단점은 있다. 공중파 방송을 볼 수 없다는 점, 일부 방송국 프로그램과 영화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그래서 넷플릭스와 한국형 플랫폼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사람도 적잖다.

이런 점을 넷플릭스도 보완하고 있다. 한국 방송국과 제휴, 국내 방송까지 볼 수 있도록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 연예인이 나오는 자체 방송 제작이 대표적이다. 전 세계 어느 누구와도 아이디를 나눠 쓸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에게도 이런 시스템은 각광 받을 전망이다. 

김상원 서울신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도하는 넷플릭스가 신생 스트리밍 서비스에 구독자를 빼앗기지 않기 위해 서비스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자체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투자하거나 요금제 개편, 서비스되는 국가를 늘리는 등의 노력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넷플릭스가 세계 모든 지역을 커버하는 건 아니다. 현재 중국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 VPN(가상사설망)을 깔고 이용할 수는 있지만 속도가 느리고 불안정하다.

최근 중국 베이징을 여행한 직장인 윤혜영(35)씨는 구글맵은 물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이 되지 않아 여행 내내 답답했다. 특히 넷플릭스로 ‘킹덤’을 첫회부터 보고 싶었는데 중국에서는 도무지 시청할 방법이 없었다. 

윤씨는 “넷플릭스의 장점은 세계 어디서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인데 중국에서는 못 봐 당황스러웠다”며 “중국은 인구가 많아 넷플릭스에게 가장 큰 시장이라고 생각했다. 당연히 서비스될 줄 알았는데 의외였다”고 아쉬워했다.

이에 대해 김상원 교수는 “중국이 자문화 중심 정책을 펼치면서 외부문화의 유입을 최대한 막고 싶어한다. 넷플릭스에게는 중국이 아주 큰 시장이지만, 중국이 넷플릭스를 막는 것은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구글 등을 사용금지 조치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youz@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