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한신평 “대형마트 3사, 신용등급 회복 가능성 낮아”

기사등록 : 2019-03-26 17:2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박준호 기자 = 대형마트 시대가 급격히 저물고 있다. 정부의 규제와 유통 패러다임의 변화로 성장 여력이 제한적인 가운데, 국내 유통업계를 주도해 온 대형마트 3사의 신용등급 회복 가능성이 낮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한국신용평가는 26일 진행된 크레딧 세미나에서 주요 대형마트 업체의 신용도가 이른 시일 내에 상향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온라인의 시장 침투와 변화하는 소비패턴으로 당분간 실적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실제 대형마트의 수익성 하락이 다른 업태에 비해 두드러지는 가운데, 지난해 대형마트 3사(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의 합산 총매출은 전년보다 1.3% 줄었다. 영업이익률(3.1%)도 1.1%포인트 하락했다.

송민준 한국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실장은 “롯데쇼핑(롯데마트 포함)은 중국사업 철수와 국내사업 효율화 작업으로 올해 소폭의 실적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오프라인 업태 전반의 성장 정체와 대형마트의 늦은 사업전략 전개 등으로 향후 추세적 수익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롯데쇼핑 장기신용등급은 'AA+/부정적'을 유지하고 있지만, 불안한 업황과 맞물려 신용도 하향 압박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신평이 제시한 '에비타 마진(EBITDA/총매출)'도 등급하향 가능성 확대요건(7% 미만)을 충족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이자, 법인세, 감가상각 등의 비용를 빼기 전 순이익으로,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준다. 에비타 마진율은 동일 산업 내 기업 간 수익성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

송민준 실장은 “중국 마트 철수와 일부 보유지분 및 부동산 매각으로 단기적으로 재무부담이 크게 확대되지 않을 수는 있으나, 저하된 수익창출력과 투자부담을 감안하면 재무 커버리지 지표가 등급전망 ‘안정적’ 복귀 조건(별도기준 조정순차입급/EBITDA 3배 이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개선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이마트에 대해서도 트레이더스·노브랜드 등 신사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익성 지표는 과거 대비 저하됐다고 평가했다.

송 실장은 “자체사업 경쟁력과 신규사업의 안정화가 수익성 하방압력을 일정 수준 완화시킬 것으로 보이나, 대형마트 업황 부진과 가격경쟁, 온라인사업의 낮은 채산성, 임차료 부담 증가 등으로 추세적 수익성 개선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한국신용평가]

현재 이마트의 장기신용등급은 'AA+/안정적'이다. 한신평은 이마트의 연결 및 하남스타필드 합산 기준 에비타 마진율이 등급하향 가능성 확대요건(6%)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신용도를 하향조정한 홈플러스에 대해서도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한신평은 지난 19일 홈플러스의 단기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하향 조정했다.

송 실장은 “수익창출력 저하, 비우호적 영업여건에 따른 실적회복 불확실성, 계열전반의 재무 커버리지 지표 저하 등으로 최근 단기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며 “올해 초 유휴자산 매각을 통한 차입금 상환에도 불구하고, 신규포맷 점포 리뉴얼 및 온라인 관련 투자 증가와 저하된 수익창출력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차입금 축소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홈플러스의 실적 악화는 일시적 현상이 아닌 장기적으로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하이브리드 포맷 확대를 통해 매출 신장 및 비용절감 효과를 도모하고 있으나, 기존점 매출 역성장과 리뉴얼 과정에서의 영업일수 공백 효과로 외형 확대가 어렵다는 관측이다.

송 실장은 “최저임금 상승과 연이은 세일 앤드 리스백(S&LB)에 따른 임차료 부담 증가 등이 수익성 개선을 제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사진=뉴스핌]

한편, 대형마트의 몸부림에도 불구하고 향후 유통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온라인의 시장 침투와 변화하는 소비패턴으로 소비자들의 대형마트 방문이 줄어드는 가운데, 비식품 카테고리에서 대형마트의 경쟁력은 온라인 대비 낮은 수준이다.

온라인 채널의 취급상품 수는 대형마트 대비 압도적으로 많아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으며, 가격 경쟁력이나 빠른 배송서비스 측면에서도 경쟁우위를 갖추고 있다.

심지어 대형마트 매출의 50% 이상 차지하는 식품 부문의 경우도 매출 증가폭이 2017년 3.3%에서 지난해 0.7%로 크게 둔화됐다.

게다가 대형마트는 직매입 비중이 80% 이상으로 높은 유통마진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소비자들의 가

격 비교가능성 제고와 접근성 확대, 구매채널 다양화 등의 영향으로 교섭력이 약화되고 있다. 이는 매출이익률의 점진적인 하락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온라인 시장의 급성장과 반비례해 대형마트와 같은 오프라인 업태가 추락하는 상황이 유통업계의 현주소”라며 “여기에 정부의 규제까지 일방적으로 더해지면서 업계의 희비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고 말했다.

 

j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