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靑 "한·미, 北 문제 이견 없어…대북제재 틀 유지돼야"

기사등록 : 2019-04-09 15:0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靑고위관계자, 기자들과 질의응답
"문대통령, 북·미 양측 신뢰 가진 인물"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7번째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일각에서 제기하는 북한 문제에 대한 한·미 간 불협화음은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9일 기자들과 만나 "중요한 것은 완전한 비핵화라는 최종 상태에 대해서 한미 간 의견이 일치한다"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핵화) 로드맵에 대해서도 의견이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11일 한미정상회담에서) 이를 재확인하고 (문 대통령은) 대화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 (북미간) 협상 재개를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며 "탑다운 방식과 (대북)제재 틀은 계속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은 비핵화 해법으로 빅딜을 청와대는 굿 이너프 딜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고 이번 회담에서 이것이 조합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굿 이너프 딜은 미국의 빅딜과 북한의 단계적 합의를 절충하는 방안이다. 문 대통령은 오는 11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이러한 구상을 미국 측에 공식 전달할 예정이다.

다만 외교가 안팎에서는 굿 이너프 딜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없다는 점에 근거, 한미 간 간극이 크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특히 미국은 '올바른 합의'를 언급하며 일괄타결식 빅딜을 계속해서 주장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방미 일정을 마친 후 북한과의 접촉 계획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지금 이 시점에서 북한과 미국의 신뢰를 갖고 있는 사람은 문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미회담이 지난해 5월 취소됐지만 판문점에서 원포인트 남북정상회담이 열렸고, (이후) 6.12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됐다"며 "이번에도 우리 역할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노딜'로 끝난 하노이 회담에 대해서는 "실패라기 보다 하나의 긴 호흡의 프로세스"라며 "각 당사국들이 어떤 니즈(요구)가 있고 어떤 방향으로 협상을 필사적으로 할지 알게 된 좋은 계기"라고 평가했다.

이 관계자는 또 '트럼프 대통령의 5월 방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상 간 회담에서 논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no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