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증권·금융

[Bio톡스] 장외주식 강자 올리패스, 잡음에도 급등...이유는?

기사등록 : 2019-04-18 16:0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RNA 플랫폼기술 나스닥 기업, 시총 10조
‘기술특례상장→테슬라요건→성장성’
올해 ‘코스닥’ 시장 입성 가능할까

[서울=뉴스핌] 김유림 기자 = 유전자치료제 개발업체 올리패스가 상장주관사와 함께 올해 코스닥 입성을 목표로 성장성특례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앞서 올리패스는 청담동 주식부자 이희진 사건, 기술성평가 이슈, 기술이전 계약 해지 등 여러 잡음이 불거져 나왔다. 하지만 여전히 비상장 주식시장에서 매력적인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된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장외주식 시장에서 올리패스의 주가는 4만8000원이며, 시가총액 6041억원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06년 설립된 올리패스는 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리보핵산(RNA) 간섭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신약을 개발 중이다. 그동안 RNA 치료제는 체내에서의 불안정성과 핵산기반 치료제의 낮은 세포막 통과효율 문제로 치료제 개발이 제대로 되지 못했다. 반면 올리패스는 OPNA(OliPass Peptide Nucleic Acid)를 통해 세포 투과성을 증대했고, 소량의 약물로도 약효를 낼 수 있도록 개선시켰다. 대표 파이프라인은 비마약성 진통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하지만 올리패스가 투자자들에게 유명세를 떨치게 된 계기는 플랫폼 기술이 아닌 ‘청담동 주식부자’ 이희진씨 사태 때문이다. 이희진씨는 과거 증권방송에서 주식 전문가로 활동했다. 이후 SNS를 통해 청담동 소재 고급주택이나 고가 외제차량 등의 사진을 올리며, 일명 ‘청담동 주식부자’라고 불렸다.

그러나 금융투자업 인가를 받지 않고 불법 투자회사를 차려 1700억원 상당의 주식을 매매하고, 시세차익 130억원을 챙긴 혐의로 2016년 기소됐다. 이 과정에서 올리패스는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종목이라는 오명을 썼다.

또한 지난 2014년 다국적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퀴브(BMS)를 상대로 기술수출에 성공했고, 시총이 2조원에 육박했다. 주가가 16만원대까지 치솟자 주요 임원들의 주식 매각이 이어졌다. 결국 2015년 BMS와의 기술계약은 깨졌고, 2만원대로 추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올리패스의 잡음은 끊이지 않았지만, 벤처투자시장에서 대규모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리패스는 2017년 말 상장 전 투자 유치(pre-IPO) 방식으로 미래에셋캐피탈, SV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총 350억원 가량을 투자 받았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는 올리패스의 플랫폼 기술을 높게 평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 자산운용사 임원은 “RNA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나스닥 상장사들에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국내 바이오 기업 중 이와 유사한 RNA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곳은 올리패스를 제외하고 올릭스밖에 없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날 기준 미국 나스닥 시장에서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Ionis Pharmaceuticals), 앨라일람 파마슈티컬스(Alnylam Pharmaceuticals),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 등 RNA 원천기술을 보유한 바이오기업의 시총은 10조원대를 넘어섰다.

또 지난해 7월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올릭스는 상장 첫날 공모가(3만6000원)보다 2배 가까이 상승한 6만5600원에 장을 마쳤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및 셀트리온 어닝쇼크 등 지난해 내내 이어져 온 바이오 섹터의 악재에도 주가 6만원대를 유지 중이다.

현재 올리패스는 기술성특례상장 및 테슬라요건상장을 철회하고, 성장성특례상장을 준비 중이다. 그러나 이 과정도 순탄치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기술성평가 진행 당시 기술 문제보다는 평가위원들과 올리패스 대표가 마찰이 있었고, 결국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에 테슬라요건상장으로 방향을 틀었지만, 공동주관사인 미래에셋대우와 키움증권의 의견 불일치로 결국 성장성특례상장으로 결정됐다”고 귀띔했다.

올리패스는 지난해 바이오 기업들이 상장을 위해 통상적으로 활용하는 ‘기술특례상장’을 시도했다. 거래소가 지정한 전문 평가 기관 두 곳에서 기술성평가 심사를 받았다. 통과 기준은 기관 두 곳에서 최소 A등급, BBB등급 이상이 나와야 하지만, 올리패스는 각각 A등급과 BB등급을 받아 탈락했다.

이에 회사는 바이오 기업 중 최초로 ‘테슬라요건상장’으로 방향을 바꿨다. 테슬라요건상장은 기술성평가를 받지 않아도 되지만, 주관사와 회사는 거래소에 이익 실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여기에 풋백옵션(환매청구권) 기간이 3개월이다.

특히 4년 이내에 매출액이 30억원이 되지 않고, 영업이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관리종목으로 들어가고 상장폐지가 된다. 오랜 시간 영업이익 없이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바이오 기업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조항이다.

결국 올리패스는 최종적으로 ‘성장성특례상’을 준비 중이며, 최근 전문평가기관 두 곳에서 모두 A등급을 받았다. 성장성특례상장은 상장주관사의 추천이 핵심이며, 기술특례상장과 함께 4년 연속 영업손실이 나더라도 관리종목에 지정되지 않는다. 회사가 지정하는 1개 기관에서 심사를 받으면 되고, 기술 평가 등급이 낮아도 신청이 가능하다. 주관사의 추천만으로 상장이 가능한 대신 풋백옵션 기간이 테슬라요건의 두 배 ‘6개월’을 적용 받는다.

거래소 관계자는 “일부 평가 기관에서 점수를 낮게 줬지만, 주관사가 다른 평가를 받아보고 확신을 갖는 경우 거래소가 신뢰를 갖고 심사 절차를 밟는 것”이라며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상장되는 건 아니다. 기술성, 사업성, 내부통제, 임원 모럴헤저드 등 기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본다”고 설명했다.

uri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