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북한이 통일전선부장을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에서 장금철 조선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으로 전격 교체했다. 김 부위원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측근이면서 지난해부터 미국과 한국을 상대로 한 북핵 협상을 총괄해온 실세였다는 점에서 그 배경이 주목된다.
김 부위원장에 신상에 어떤 형태로든 변화가 있으리란 전망은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직후부터 꾸준히 제기돼왔다. 김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상대로 제재 완화란 선물을 받아낼 것을 기대하며 하노이행 열차에 올랐었다. 하지만 북한 입장에서 결과는 참담했고 김 부위원장의 입지도 위축될 수 밖에 없었다.
지난 1월 18일(현지시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미국 워싱턴DC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지만 그는 지난 11~12일 열린 14기 최고인민회의에서도 노동당 부위원장직을 유지했다. 더구나 당시 북한이 공개한 ‘김정은 2기’ 지도부 단체 사진에서 그는 김 위원장의 바로 뒤에 자리 잡으며 건재를 과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김 부위원장은 통일전선부장직에서 물러났고 북러 정상회담 수행 대표단에도 빠져 궁금증을 증폭시키고 있다. 그 실마리는 북한이 최근 김 부위원장의 파트너로 북미 협상을 함께 조율해온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배제를 요구하는 데서 찾아진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8일 권정근 북한 외무성 미국담당국장이 “앞으로 미국과의 대화가 재개되는 경우에도 나는 폼페이오가 아닌 우리와의 의사소통이 보다 원만하고 원숙한 인물이 우리의 대화상대로 나서기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이어 "하노이 수뇌회담의 교훈에 비추어보아도 일이 될 만 하다가도 폼페이오만 끼어들면 일이 꼬이고 결과물이 날아나곤 하는데 앞으로도 내가 우려하는 것은 폼페이오가 회담에 관여하면 또 판이 지저분해지고 일이 꼬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수차례 독대하면서 비핵화 약속을 6번이나 들었다고 주장해왔다. 이 약속을 토대로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두 차례 북미정상회담까지 성사시켰다.
그러나 결국 북미협상은 김 위원장의 ‘비핵화 약속’을 두고 입장이 엇갈리면서 결렬됐고 교착 상태에 빠져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정부는 “김 위원장이 스스로 비핵화 약속을 지켜야한다”며 북한을 압박하고 있다.
수세에 몰린 김 위원장을 결국 기존 ‘김영철-폼페이오’ 라인이 구축해온 북핵 협상의 틀을 깨고, 새판짜기 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한 공격과 함께 김 부위원장을 북핵 협상 전면에서 배제한 것이 그 연장선 상에 있는 셈이다.
지난 15일 북한은 14기 최고인민회의 이후 ‘김정은 2기’ 단체 사진을 공개했다. (빨간색 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뒤에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당시 통일전선부장이 자리잡고 있다.[사진=조선중앙통신] |
김 위원장의 대안은 25일 열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크렘린궁은 북러 정상회담을 앞둔 24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효과적 해결책은 6자회담이 유일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현재로서는 (6자회담 외에) 효과적인 국제적 메커니즘이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블라디보스토크 방문 수행 대표단에서 김 부위원장이 빠진 자리는 리용호 외무상과 최근 승진한 최선희 제1부상이 차지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북한 외무 라인의 전면배치다. 이들을 내세워 중국과 러시아 등과의 공조 강화와 국제사회 북핵 다자외교 구축에 비중을 두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 중국과 러시아의 협조로 미국의 경제 제재를 버텨낸 뒤 6자회담 형태의 다자 외교를 통해 미국을 역으로 압박할 수 있다면 북한으로선 ‘금상첨화’다.
하지만 이같은 의도를 뻔히 읽고 있는 워싱턴 당국이 쉽사리 대북 기조를 수정할지는 의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오는 26일 백악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거듭 강조하며 ‘북-중-러’ 연합 전선에 맞대응할 가능성이 높다.
당분간 북미는 직접 담판은 뒤로 미룬 채 동맹과 공조를 최대한 활용,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수 싸움을 벌일 전망이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