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판문점선언 1년] ⑨포천 냉정리, 망향의 그리움이 혼백으로

기사등록 : 2019-04-27 07: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분단 60년...망향동산에 혼백 된 1세대 피난민들
고향에 대한 그리움, 1년에 한번 ‘망향재’로 달래
“남북통일? 죽기 전 고향이나 한번 둘러봤으면”

[편집자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두 손을 맞잡고 군사분계선(MDL)을 넘나들었던 지난해 1차 남북정상회담을 기억하시나요.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남북 정상이 첫 발걸음을 뗐던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남북 정상은 회담의 결과물인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그간의 전쟁위험의 긴장감을 누그러뜨리고 ‘한반도 평화의 봄’을 위한 여정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뉴스핌>은 4.27 판문점선언 채택 1년을 맞아 의미와 성과를 짚어보고 아직 남아있는 과제를 진단하는 기획시리즈를 마련했습니다.

[포천=뉴스핌] 이학준 기자 = ‘망향(望鄕)동산’. 한국전쟁 당시 고향을 두고 떠나온 1세대 피난민들이 혼백이 돼 잠들어 있는 곳이다.

지난 25일 서울에서 차로 2시간 정도만에 도착한 경기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에서 제일 먼저 눈에 띈 곳이 바로 망향동산이었다. 60여년 전 고생 끝에 냉정리에 정착한 실향민들, 하지만 끝내 고향 땅을 밟아보지 못하고 유명을 달리한 그들의 그리움이 여전히 살아 숨쉬는 듯했다. 

[포천=뉴스핌] 이형석 기자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에 위치한 먕향동산. 이곳에서는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실향민들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2019.04.25 leehs@newspim.com

이날 관인면민회관에서는 이북 5도 실향민들의 39번째 정기총회가 열렸다. 정기총회는 관인면에 거주하는 피난민들이 1년에 한 번 모여 회의를 하고 밥과 술을 나누는 일종의 잔치다. 과거 3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도민회였지만 이날은 100석의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세월이 흐른 만큼 실향민 대다수가 이미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김영자 포천시 이북 5도민회장은 “여기 회의장이 꽉 찼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데 역시 자리가 많이 비었다”며 “참 서운하고 서글프다”는 말로 인사말을 전했다. 그는 “북에 두고 온 부모 형제 자식들, 이제 만나볼까 생각했더니 점점 길어진다”며 “그런 날이 곧 오지 않겠느냐”고 실향민들을 달랬다.

[포천=뉴스핌] 이형석 기자 = 26일 오전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민회관에서 관인지구이북도민회 제39회 정기총회가 열리고 있다. 2019.04.25 leehs@newspim.com

관인면 냉정리 실향민 마을은 1953년 처음 만들어졌다. 1950년 한국전쟁 이후 황해도를 비롯한 이북 5도의 실향민들은 미국 군함을 타고 여수로 피난을 가 2년 동안 정착해 살았다. 그러던 중 정부는 이북 고향 땅에서 가까운 곳에 살기를 원하는 사람은 보내주겠다고 했다.

실향민들은 두말없이 이동하겠다며 기차에 몸을 실었다. 1953년 3월 경 기차는 이들을 연천, 지금의 포천시에 내려줬다. 냉정리 실향민 마을은 그렇게 탄생했다.

정착은 녹록치 않았다. 텐트 하나에 몇 가구가 함께 거주하며 관리가 전혀 되지 않은 ‘묵어 자빠진’ 땅을 경작해야 했다. 호미, 곡괭이 등 장비는 물론, 물과 식량도 부족했다. 배급이 끊기면 당장 생존을 걱정해야 했다.

김삼영(82)씨는 “여기 왔는데 연장도 없고 물도 없고 씨앗 종자도 없고 아무것도 없었다”며 “무얼 먹고 살아야 하는지 난감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풀이 안 난 저수지 밑을 호미로 파기 시작했는데, 3부자가 땅을 파기 시작했는데...”는 말을 끝으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그는 당시를 회상하며 고인 눈물을 닦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났다. 이를 옆에서 지켜보던 한 실향민 할머니는 “다들 고생 뒈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포천=뉴스핌] 이형석 기자 = 4·27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 1주년을 이틀 앞둔 25일 오후 경기도 포천시 냉정1리회관에서 실향민 김상영 어르신이 지난 1년간의 남북관계에 대해 소회를 밝히고 있다. 2019.04.25 leehs@newspim.com

고생 끝에 이들은 냉정리에 정착했고 그로부터 60여년이 지났다. 그동안 1세대 피난민들은 하나 둘 세상을 떠났다. 남은 1세대 피난민은 고독했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밤낮 없이 머릿속을 파고들었다.

민명식(85)씨는 “우리 동갑내기가 여기 관인면에만 28명 있었는데 다 죽고 3명밖에 남지 않았어. 다 죽고 3명만 남은 거야”라며 경로당 천장을 바라봤다. 민씨는 “고향 생각이 나서 밤에 잠이 안 올 때가 많다”며 “그런 생각이 들 때는 술 한잔 먹으니까 맨날 술만 먹는다”고 했다.

남은 이들은 돌아가신 1세대 피난민들을 위해 망향동산이라는 공동묘지를 만들었다. 망향이란 말 그대로 고향을 그리워하며 생각한다는 뜻이다. 이들은 죽어서도 고향을 그리워했고, 매년 한 번 망향재라는 제사를 지내며 그리움을 달래고 있다.

[포천=뉴스핌] 이형석 기자 = 4·27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 1주년을 이틀 앞둔 25일 오후 경기도 포천시 냉정1리회관에서 실향민 주명식(왼쪽), 민명식 어르신이 지난 1년간의 남북관계에 대해 소회를 밝힌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19.04.25 leehs@newspim.com

그러나 이들은 통일이라는 거대한 염원보다는 그저 고향 땅이나 한번 밟아 보는 것이면 족하다고 했다. 부모와 떨어져 피난을 왔다는 주명식(80)씨도 “통일은 안 돼도 서로 왕래할 수 있는 계기가 있었으면 좋겠다”며 “이제는 죽을 날을 모르니까 고향이나 한번 돌아보고 조상이나 찾아보는 것이지 다른 바람은 없다”고 말했다.

이 말을 옆에서 듣고 있던 민씨는 “돈만 있으면 온 세계를 다 다니는데, 왜 이북은 못 가냔 말이냐”며 “죽을 때가 되니까 고향 생각이 더 난다”고 거들었다.

hakj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