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Lets

[뱅커스토리] 카카오뱅크로 간 뱅커…전월세대출 틀을 깨다

기사등록 : 2019-05-05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00% 비대면 전월세대출로 '히트'…1년 만에 1조원 돌파
KB국민은행·IBK기업은행에서 카카오뱅크로 이직

[서울=뉴스핌] 최유리 기자 = 시중은행 영업창구나 대출상품개발부에서 흔히 쓰는 '임대인', '임차인'이란 어려운 단어를 카카오뱅크에선 듣기 어렵다. 대신 '집주인'과 '세입자'라는 익숙한 말을 쓴다. 금융권 경력자보다 많은 '금알못'(금융을 알지 못하는 사람) 직원들이 쉬운 단어로 바꿔 쓰자고 제안한 결과다. 

카카오뱅크에서 준(Jun)과 테디(Teddy)로 불리는 이준희, 박신건 상품파트 여신팀 전월세보증금대출 담당도 익숙한 것과 결별을 선언했다. 두 사람 모두 10년 가까이 일반 은행에서 일했지만 기존 관행에 과감하게 물음표를 던졌다.

고객들은 대부분 주말에 이사를 하는데 왜 대출은 영업일에 미리 받아야 하는지, 왜 대출 한도도 모르고 집을 계약해야 하는지 끊임없는 질문에서 100% 비대면 전월세대출이 나왔다. 출시 1년 만에 대출 약정액 1조원을 돌파한 카카오뱅크의 대표적인 히트 상품이다.

◆ 갈증 해소 위해 카카오뱅크行…틀 깨기 도전

왼쪽부터 박신건(테디)·이준희(준) 상품파트 여신팀 전월세보증금대출 담당. [사진=카카오뱅크]

준은 2007년 KB국민은행에 입사했다. 주로 영업점에서 가계 대출을 담당하며 우수 실적 사원으로 은행장 표창까지 받았다. 그러나 갈증은 남았다. 창구에서 직접 맞닥뜨리는 소비자들의 아쉬움을 해소하고 싶었다.

아쉬움을 느끼기는 테디도 마찬가지였다. 2009년 IBK기업은행에 입사해 상품 기획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지만 상품에 대한 애착이 부족했다. 톱다운(top down) 방식으로 의사결정이 이뤄졌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반영할 기회가 적었다.

두 사람은 목마름을 해소하기 위해 카카오뱅크의 문을 두드렸다. 완전히 새로운 상품을 내놓기보다는 기존 상품부터 바꿔보자는 생각에 비대면 전월세대출을 기획했다. 카카오뱅크 고객층인 2030 세대에게 필요한 상품이라는 판단에서다.

"대출 상품을 팔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이 집을 계약하기 전에는 대출 한도를 조회할 수 없다는 것이었어요. 소비자는 불안감이 들 수밖에 없죠. 은행원 입장에선 대략적인 한도를 얘기해 줬다가 막상 대출이 안 나오면 민원이나 분쟁이 될 수 있어 조심스럽고요."(준)

카카오뱅크는 대출 한도 사전 조회를 전월세대출에 적용했다. 계약 방식, 집 위치, 입사연도, 월 소득 등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예상 한도와 금리를 2분 내에 조회할 수 있다. 실제 대출 심사에선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증명 등 필요한 서류를 스크래핑 방식으로 모아 불필요한 대면 거래를 없앴다. 스크래핑은 국세청, 건강보험관리공단으로부터 카카오뱅크가 자료를 직접 받는 방식이다. 주말과 공휴일에도 대출을 시행해 은행 영업일에 맞춰 이사를 하거나, 대출 이자를 더 낼 필요가 없다.

"카카오뱅크에서 경험한 가장 큰 차이는 상품을 만들 때 치열한 고민을 거쳐야 한다는 거예요. 예전에는 상품에 대한 정의를 해놓고 IT 담당자에게 요구하면 됐거든요. 다시 말해 기존 시스템에서 구현할 수 있는 상품을 추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색다른 결과가 나오기 어렵죠. 반면 카카오뱅크에선 인프라부터 새로 만들어야 하니 관행이랄 게 없습니다. 기획자와 개발자들이 함께 머리를 모아 단어 하나부터 고민하죠."(테디)

◆ '내새끼' 같은 상품…추천 의향 100%

왼쪽부터 박신건(테디)·이준희(준) 상품파트 여신팀 전월세보증금대출 담당. [사진=카카오뱅크]

대출 서비스를 내놓고 연내 목표를 1조원으로 내세웠지만 걱정이 앞섰다. 카카오뱅크 출범 후 첫 상품이라 은행권에서도 관심이 높았다.

"목표를 반도 채우지 못하면 어쩌나 잔뜩 긴장하고 있는데 친구에게 전화가 왔어요. 대출 신청이 끝난 게 맞냐고 묻더군요. 너무 간단해서 오히려 불안하다는 얘기를 들으니 안심이 됐습니다."(준)

목표대로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2월 대출 누적약정액 1조원을 넘어섰다. 은행이 영업하지 않는 시간에 대출을 받는 비율은 65%로 나타났다. 대출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인에게 상품을 추천하겠다는 응답은 100%였다.

"예전에는 상품 출시 이후 실적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마감일에 맞춰 상품을 내놓으면 판매는 영업점 일이라고 생각했죠. 그런데 이번에는 달랐습니다. '내 새끼'라는 애착이 생겨 고객 반응에 민감해지더군요."(테디)

준과 테디는 앞으로는 전월세대출을 업그레이드하는 게 목표다. 지금은 소득 확인이 용이한 직장인만 대상으로 하지만, 사업자 등으로 고객 범위를 넓히려 한다. 전월세대출뿐 아니라 대면에서 이뤄지는 은행 거래를 비대면으로 모두 옮겨오는 게 중장기적인 목표다.

"궁극적으로는 데이터를 가장 잘 활용하는 은행이 되고 싶어요. 데이터 활용을 잘하면 고객이 많은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미리 필요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죠. 대출 만기일이 다가오면 알아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것도 가능해질 겁니다."(테디)

yrcho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