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기 국제부장 = 시장경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40년 이상 유지되던 자유무역주의에 대해 글로벌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이 앞장서서 허물어가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은 5월 이후 이란과 북한 핵 문제, 베네수엘라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더욱 휘둘리는 모습이다.
이란 원유 수출 봉쇄와 베네수엘라 정변으로 국제유가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북한과 이란의 핵 문제가 원점에서 다시 논의돼야 할 정도로 그간에 진전되던 협상이 오히려 후퇴하고 있기 때문이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협과 핵 프로그램 재개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항공모함과 B-52 폭격기 대규모 배치 등 이란 위기의 고조는 국제유가의 주요 변수다.
여기에 우리의 현실인 북핵 문제도 한창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진행되다 갑작스레 멈춰섰다.
이런 지정학적 리스크는 자산시장에서 투자자들의 행동에 충격을 준다.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이 자산가격을 과도하게 끌어올려 밸류에이션에서 자신감을 잃게 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염성은 대단히 높다.
현재 가장 취약한 고리는 미국부터 신흥국까지 봇물을 이룬 회사채와 고수익률을 제공하는 정크본드 시장이다.
저금리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점쳐지는 데다 벼랑 끝 경제 위기에 대한 공포가 한풀 꺾인 데 따른 결과다.
하지만 지난해 이머징마켓 전반에 패닉을 일으켰던 아르헨티나와 터키를 생각해 보면 정치권 리스크와 실물경기 악화가 맞물리게 될 때 금융시장이 받는 충격은 가늠하기 힘들 것이다.
이에 투자자들은 지난해와 같은 신흥국 금융시장에 리스크가 전염될 가능성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물론 실물경제에서 가장 큰 이슈인 미·중 무역갈등도 11차에 걸친 협상에도 불구하고 미봉 상태로 협상 기한만 또 5월말까지 1개월 늘어졌다.
미국은 미국 일정대로 2000억달러 수입품에 관세율 25% 적용을 시작했고 추가로 잔여수입품 약 3000억달러에 대해서도 관세인상 절차에 착수했다.
중국도 이에 보복하는 카드를 조만간 내놓을 태세다. 더구나 중국은 미국이 원하는 경제 시스템의 변경을 수용할 수 없는 입장이고, 무역갈등에 어느 정도 내성을 기른 상태다.
실제 올 들어 미·중의 수출입 규모가 전년 대비 급감하면서 양국의 무역협상은 향후 방향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중국의 지난 4월 기준 실적을 보면, 주요 수출지역인 미국(-13.1%)과 일본(-16.3%)의 수출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또 유럽(6.5%), 아세안(0.7%)에 대한 수출증가율도 전월 두 자릿수에서 크게 둔화됐다. 전체적으로는 달러 기준 전년 대비 2.7% 감소하며 예상치보다 큰 감소폭을 보였다.
누가 뭐래도 중국 경제의 장기 발전의 근간은 '중국제조2025'계획이다. 현재 짜여진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각 분야에서 핵심 기술을 확보, 글로벌 리더로 올라서는 것이 이 계획의 목적이다.
이를 포기하고 무역을 취할 수는 없는 것이다. 국가 간, 특히 강대국 간의 밀고 당기는 역학관계는 여지가 많기 때문에 일방적인 포기나 성취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중국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는 완전한 문제 해소를 통해 이전 상태로 되돌아간다는 것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는 의미다.
실물경제가 위기 수준은 아니더라도 낙관적이지 않다는 것은 선진국들의 금융 정책에서 드러났다. 정상화(긴축)로 선회한다던 금융 정책이 모두 기존의 완화적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다.
성장 동력이 떨어진 글로벌 경제에 지정학적 리스크가 현실화된다면, 금융시장은 불가피하게 또 크게 흔들릴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5월 들어 더욱 도드라진 북한과 이란의 핵 문제, 베네수엘라 정변이 어떻게 해결과 안정으로 가닥을 잡을지 온 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이유다.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