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대학 실험실 창업? 말뿐...돈도 의지도 없다

기사등록 : 2019-06-11 15: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관련 예산 2억원 넘는 대학 단 1곳
“대학 지원 예산·제도도 미흡”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대학에서 논문이나 특허 형태의 신기술을 활용한 ‘실험실 창업(Lab to Market)’이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은 예산을 확보한 대학도 없고, 교수나 학생도 의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기관인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작년 12월 4년제 대학 중 정부 창업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약 100개 대학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11일 재단이 공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28개 대학 가운데 실험실 창업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중은 총장이 75.0%로 가장 높았고, 이어 직원 50.0%, 교원 46.4%의 순으로 조사됐다.

   실험실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주요 지원 내용 2019.06.11. [자료=한국연구재단]

실험실 창업이 활성화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질문(2개 중복응답)에서 교수나 학생 등 창업주체와 전문 지원인력 등 이른바 ‘사람의 문제’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 ‘교원 및 대학원생의 의지 부족’(25.0%) △ ‘지원 전담인력 부족’(23.2%)에 이어 △ ‘지원예산 부족’(21.4%) △‘대학의 전반적인 인식 부족’(19.6%) △‘적합한 기술의 부족’(10.7%) 등이 이유로 꼽혔다.

대학의 예산 지원이 턱없이 부족한 것도 중요한 이유였다. 28개 응답대학 가운데 실험실 창업 지원을 위해 대학 자체예산 투입이 없는 대학이 13개(42.9%)였으며, 나머지 대학도 대부분 5000만원 미만의 교비를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억원 이상의 예산이 쓰인 대학은 단 1곳에 불과했다.

실험실 창업과 관련한 제도 역시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학사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대학도 10여곳이며, 운영 대학도 대부분 창업강좌 정도를 운영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교원 인사제도와 관련해서도 대부분 교원창업 휴・겸직제도를 운영하고는 있지만 △‘교원 창업시 시수감면’ 3곳 △‘교원 창업시 업적평가 점수 반영’ 9곳 등 차별화한 인사제도를 운영하는 대학은 극히 적었다.

연구재단 관계자는 “국내에서 고학력 창업, 교수·연구원 창업이 감소하면서 벤처기업의 기술 수준도 함께 줄어들고 있다”며 “실험실 창업과 관련해 정부재정지원사업의 의존도도 절대적으로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따라서 실험실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람(교원 및 대학원생)의 인식개선이 필요하고, 이를 지원할 전문인력을 최우선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근 연구결과에서 국내의 고학력 창업은 미국 등 기술기반 창업이 활발한 국가들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교수·연구원 창업 비중은 2004년 39.5%에서 2011년 8.6%로 감소했다. 동시에 국내 유일 기술을 적용하는 벤처 비중 역시 2009년 17.9%에서 2011년 11.1%로 줄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결과는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란 제목의 연구재단 이슈리포트 최신호에 실렸다.

kimys@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