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조선시대 왕실 백자·인장, 뉴욕 경매서 매입해 국내 환수

기사등록 : 2019-06-19 17:5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9일 국립고궁박물관서 백자이동궁명사각호·중화궁인 환수 공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조선시대 숙선옹주(1793~1836)가 살던 궁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이동궁명사각호와 조선시대 왕실 관련 인장 중화궁인이 라이엇게임즈의 후원으로 국내에 들어왔다.

문화재청은 1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조선시대 왕실 관련 유물 2점 국내 환수'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두 점 모두 지난 3월 미국 뉴욕 경매에서 매입해 국내로 들여왔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1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우리문화재, 고국의 품에 안기다'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 산하 기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지건길)은 국외 경매현황을 점검하다 두 문화재를 발견해 전문가들의 가치평가와 문화재청과 구매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쳤다. 이후 현장 경매(크리스티, 본햄즈)로 구매에 성공했다. 이번 환수는 문화재청과 문화재지킴이협약을 맺고 한국 문화유산 보호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회사 라이엇 게임즈(한국대표 박준규)의 기부 덕에 이뤄졌다. 다만 경매 매입금에 대해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관계자는 "밝힐 수 없다. 문화재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들어온 백자이동궁명사각호는 조선 19세기 분원 관요에서 제작된 단아한 형태가 특징이다. 바닥면에 청화로 쓴 '履洞宮(이동궁)'이라는 명문이 있다. 궁(宮)은 왕실 가족이 사용하는 장소에 붙이던 명칭으로 왕자와 공주, 옹주가 혼인 후 거처하던 집도 궁이라고 불렀다.

'중화궁인'과 '백자이동궁명사각호' [사진=문화재청]

왕실 가족의 궐 밖 궁가는 사동궁(寺洞宮)과 계동궁(桂洞宮) 등 지명을 따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백자호에 쓰여 있는 '이동궁'의 이동(履洞) 역시 서울의 한 지명(현재 서울시 중구 초동 일대)이다. 이로써 이 백자호는 혼인 후 이동에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진 숙선옹주의 궁가에서 사용된 기물로 추정된다.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최경화 강사는 백자의 가치에 대해 "19세기에 만들어진 최고의 백자 수준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항아리는 상한선은 1804년이다. 하한선은 알 수 없다. 19세기 이른 백자 양상임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문화재는 궁에서 주문한 백자라는 점에서 조선 왕조 유물임을 알 수 있다. 최경화 강사는 "제작처는 왕실 백자를 전적으로 생산한 분원이라는 관여 가마에서 구운 거다. 분원이라고 한 이유는 사후원이 본원이기 때문이다. 사후원은 왕의 식사와 식사에 수용되는 그릇을 관리하는 관청이다. 또한 왕이 사용하는 백자 생산을 전담하는 기관"이라고 설명했다.

중화궁인 [사진=문화재청]

중화궁인은 인뉴(印鈕, 도장 손잡이)가 서수(상서로운 짐승) 모양이다. 인면(도장에 글자를 새긴 면)은 '重華宮印(중화궁인)'을 전서와 해서가 혼용된 독특한 서체로 조각했다. '중화궁'은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비변사등록> 등에 언급돼 있으며 앞으로 면밀한 연구와 조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서준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중화궁인에 대해 "중화궁은 실존하진 않는다. 다만, 정조에서 고종대에 창덕궁 인정전 건물로 추정하고 있다"면서 "중국의 중화궁은 건륭제가 황자 시절 거처한 곳이라 이 궁은 동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백자이동궁명사각호와 중화궁인은 향후 조선왕실유물 전문기관인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지병목)에서 관리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들 유물에 대한 전문적인 보존과 연구를 진행하면서 공개 전시 등을 통해 국민에 선보일 계획이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