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외신출처

이란 “미국 드론이 영공 침범”…유엔에 공식 항의

기사등록 : 2019-06-29 01: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이란 측이 지난주 격추한 미국의 무인 정찰기(드론)와 관련해 유엔에 공식 항의했다.

28일(현지시간) 이란 반관영 타스님 통신은 골람호세인 데흐가니 외무차관을 인용해 이란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미국 드론의 영공 침입과 관련해 공식적으로 항의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데흐가니 차관은 “이번 항의는 이란이 영공을 방어하고 어떤 침입에 대응할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일 이란은 미국의 드론이 자국 영공을 침입해 격추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최근 발생한 유조선 피격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한 이후 이란이 미국의 드론을 격추하자 두 나라의 갈등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다만 미국 측은 국제 공역에 있던 드론을 이란이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지난해 2015년 이란 핵 합의(포괄적 공동계획, JCPOA) 탈퇴를 공식 선언한 후 이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해 왔다. 특히 지난 5월에는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로(0)로 줄이겠다는 목표로 일부 국가에 유예한 이란산 원유 금수 조치를 전면 확대했다.

드론 격추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아야톨리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를 직접 겨냥한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이란 측은 최고 지도자에 대한 제재가 국가에 대한 공격이라며 반발했다.

미국과 이란은 전쟁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확인했지만, 상대방이 전쟁을 시작한다면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강조하며 긴장감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과 갈등이 고조되면서 이란은 2015년 핵 합의에서 탈퇴할 것이라며 서방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 독일과 프랑스, 영국 등은 이란 핵 합의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의 제재를 피해 이란과 거래할 방안을 모색 중이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mj7228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