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6G 인프라 핵심기술개발 사업 공청회 2019.07.19. [사진=김영섭 기자] |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우리는 왜 지금 6G(6세대 이동통신)를 준비해야 하나?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 내는 인프라이자 공장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4월3일 세계 최초 5G(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를 이룬 우리나라가 ‘6G 시대’를 실현하기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 6G 상용화의 목표는 2028년이다. 한양대 경영학부 장석권 교수는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공동 주관으로 열린 6G 인프라 핵심기술개발 사업 공청회에서 6G의 조기 기획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장 교수는 6G를 지금 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2018년 전체 수출에서 ICT 비중은 36%로서 일반기계, 가전, 자동차, 조선, 철강, 섬유를 모두 합친 37%에 버금간다”고 이유를 들었다.
서울상공회의소에서열린 이번 공청회는 글로벌 논의 초기단계인 6G에 대한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준비한 ‘중장기 6G 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을 검토하고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한양대 경영학부 장석권 교수가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공동 주관으로 열린 6G 인프라 핵심기술개발 사업 공청회에서 6G의 조기 기획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2019.07.19. [사진=김영섭 기자] |
이날 장 교수는 “우리가 퀄컴 기술채택과 상용화 연구협력으로 1996년 세계 최초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상용화로 이동통신기술 주도권을 확보한 계기가 됐다”며 “또 5G 장비에서 중국 화웨이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은 어느 기업보다 일찍 연구개발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6G에 대한 기능적 요구와 관련해 △부단한 리앨리트(Reality)의 추구(음성→데이터→영상→가상현실→모사현실) △역사상 시도된 부단한 공간의 확대와 확장성(구글의 프로젝트 Loon·모토롤라 이리듐·미국 CLEC Winstar) △네트워크 지능화의 부단한 진보(Dumb Pipe→Intelligence Network→CNN/SDN→SDC→자동 네트워크 지능화) △분산됐지만 집단통합지성(Distributed, but Collectively Integrated Intelligence) 등을 들었다.
이어 장 교수의 6G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예타)과 관련해 “시장주도자로서 위치하는 경우에야 혁신주도와 기회포착, 신기술 등 투자 경제성이 확보된다”며 “예타를 신속히 진행하되 생태계 가치사슬 기획단계서 기업 참여가 중요하다”고 주문했다.
장 교수는 6G R&D가 추구해야 할 추진 방향에 대해 △무한한 상상력 △인간중심, 시장중심의 기술 융합 △비즈니스 인사이트(Insight) △벤처 캐피탈 모델 등 새로운 방식의 R&D 추진방식 등을 들었다. 장 교수 발표에 이어 5G포럼 집행위원장인 김동구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의 주재로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과기정통부 용홍택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가 4G LTE가 상용화된 다음해인 2012년부터 5G 통신 비전 수립을 시작한 데 비춰 지금부터 6G를 전망하는 것은 결코 이르지 않다”며 “공청회를 통해 제안된 다양한 의견들을 충분히 검토해 6G 시대를 미리 대응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 차세대 이동통신 발전을 위한 정책 참고자료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9일 서울상공회의소에서 6G 인프라 핵심기술개발 사업 공청회가 열렸다. 2019.07.19. [사진=김영섭 기자] |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