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수원화성 바라본 예술가의 10가지 시선…'셩:판타스틱 시티' 개최

기사등록 : 2019-07-23 15:5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정조가 꿈꾼 이상향 수원과 수원화성 동시대 작가 시선으로
회화, 설치, 사진 미디어 등 총 22점 전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이젠, 더 이상 진실을 덮지 마시오."

박근용 작가가 버려진 폐간판으로 만든 작품의 제목이자 작품 그 자체다. 각양각색 빛을 내는 이 네온사인은 아름답지만 작가의 날카로운 비판이 담겨있다. 진실이 은폐되고 존재가 지워지는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메시지이기도 하다.

'이젠 더이상 진실을 덮지 마시오'는 혁신을 소재로 작품 구상 중 막걸리를 한 잔하다 우연히 마주한 네온사인에서 탄생했다. 혁신을 위해서는 은폐된 역사를 드러내고 문제는 해결해야 한다는 작가의 의지를 담았다.

박 작가는 "정조가 꿈꾼 수원은 이상적이고 혁신적인 도시다. '현실적'이라면 우리는 첨단기술이 들어서는 곳이라 생각하지만, 그게 아니다. 뭣보다 중요한 것은 과거의 잘못을 드러내고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원=뉴스핌] 이현경 기자= 박근용 작가의 이젠 더이상 진실을 덮지마시오 2019.07.23 89hklee@newspim.com

박근용 작가를 포함해 모두 10명이 수원과 수원화성을 바라보는 전시에 참여한다. 경기도 수원시미술관사업소(소장 김찬동)가 기획한 2019 수원화성 프로젝트 '셩:판타스틱 시티'로, 오는 23일 개최해 11월 3일까지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에서 선보인다.

전시 제목인 '셩'은 적의 습격에 대비해 구축한 방어시설을 총칭하는 '성'의 의미를 담았다. 여기에 밝게 살면서 헤아린다는 뜻을 지닌 제22대 왕 정조(재위 1776~1800)의 이름 '셩/성'을 섞은 중의적 표현이다.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신은영 전시담당자는 "정조의 이름을 이산으로 알고 있지만 정조대왕이 편찬한 한자사전 '어정규장전운'에 따르면 '이셩/성'으로 부른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이번 전시는 도시 수원을 압축적으로 상징하는 두 개의 성 '수원화성'과 '정조(셩)'를 키워드로 삼았다. 김경태, 김도희, 김성배, 나현, 민정기, 박근용, 서용선, 안상수, 이이남, 최선 등 동시대 작가가 이를 주제로 신작을 소개하는 식이다.

김도희의 '만인융릉'과 최선의 '나비', '침대성' [사진=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는 왕릉의 도입부인 진입공간이다. 정조의 삶과 그의 실존을 가능하게 했던 수원화성에 담긴 이념에 주목한다. 민정기 작가는 '봉수당을 복원하다'와 '서장대에서 본 광교산' '유형원의 반계서당'으로 수원 도심을 수채화와 같은 맑은 색감와 자유로운 시점으로 재구성했다.

작가 나현은 개망초, 클로버 등 귀화식물을 활용한 작업과 16세기 서양 기술을 소개한 도서 '기기도설'을 결합해 책의 속성을 새로운 서사로 풀어낸 '귀화 식물도설'과 영상작품 '선인문' '환경전'을 공개한다. '기기도설'은 수원화성을 지을 당시 정조가 정약용에게 내린 책으로 서구의 문물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은 작품으로 현대 사회에서 '기기도설'에 비유할 수 있는 것을 모았다.

2부에서는 개혁군주로서 정조와 죽음 이후 미완의 군주로 남은 그의 면모를 살펴본다. 작가 최선은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했던 침대 시트로 만든 수원 팔달산의 형상 '침대성'을 통해 인종, 성별, 언어, 이념의 경계를 넘는 인간 실존과 숭고함에 대해 질문한다.

아울러 그의 대표작인 오수회화 '나비'도 선보인다. 파란색 잉크를 떨어뜨려 여러 사람들이 숨으로 불어가며 완성한 이 작품은 수원 시민들과 함께 작업해 의미를 더한다.

김성배의 '셩_온새미로'(앞), 오른쪽 뒤는 김경태의 '서북공심돈', 왼쪽은 안상수의 '문자도_이성, 수원', 안상수의 '문자도_화성, 수원'[사진=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이날 현장에 참석한 최 작가는 "숨이 깃든 작품이다. 숨은 살아 있음을 의미하며 간단하면서도 엄숙한 일이다. 이 숨이 만든 길은 살아있는 사람들의 날숨의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조가 수원 화성을 지은 모든 사람의 이름을 기록하고,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 결과 다친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 그래서 수원화성이 외형적으로 아름답지만 감동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시장 한켠에는 김도희 작가의 '만인융릉'이 설치돼 있다. 붉거나 누렇고 검은 흙을 켜켜히 쌓은 무덤 형태의 작품이다. 이 세가지 가루는 염색하지 않은 천연 흙과 모래들이다. 작가는 은폐와 엄폐, 현실과 비현실, 삶과 죽음이 누적된 흙가루를 곱게 쌓아올려 축적된 시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3부는 신성한 공간인 왕릉의 능침(왕의 무덤)으로 정조의 이상향과 지향점을 통해 지금의 시간과 내일을 바라본다. 이이남은 미디어 작품 '다시 태어나는 빛'을 통해 과거와 현재가 응축왼 수원화성의 시간을 뒤섞고 과거의 도상과 기록을 현재와 병치해 미래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작가 나현의 '식물채집', '귀화식물도설', '선인문', '환경전' [사진=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김성배의 '셩_온새미로'는 7.5m 흰 원형 선반에 먹물로 흑백현상을 표현한 작품이다. 쪼개지 않고 사물의 생김새 그대로를 유지해 실존과 영원을 어떻게 사유해나갈 지 질문한다.

김찬동 소장은 "정조의 혁신성과 그것의 실체인 수원화성이 어떻게 현재를 위한 사유와 미래를 위한 기대감으로 바뀌는지 함께 살펴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89hkle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