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산업

[ICT 4.0] 도전장 낸 국내 클라우드, 아마존보다 100배 비싼 부품 사용

기사등록 : 2019-08-12 14:2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아마존, 싸구려 CPU/메모리 사용...기술력으로 보완
AWS 2006년부터 총 73차례 가격인하...치킨게임 주도
서비스 종류·질 차이도 '넘사벽' 수준

[편집자] 뉴스를 밖에서 보는 것과 안에서 취재기자의 눈으로 보는 것은 차이가 크다는 걸 종종 느낍니다. 물론 기자의 탓이 크겠지요. 자율주행이 코앞에 왔다고 믿었는데 막상 ICT 출입기자가 되어 가까이에서 보니 '한 세대가 지나도 가능할까' 싶습니다. '대한민국=ICT 선진국'인줄 알았는데 요즘은 '클라우드에선 영원한 2인자'라고 회의하고 좌절합니다. 장미빛 전망이  넘쳐나는 ICT현장에서 까칠한 글을 쓰는 이유입니다. 저 혼자 좌절하고 고민하기는 억울하니까요.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1 "클라우드 매출이 2분기 중 2배 이상 증가했다. 하반기 금융특화 클라우드 존을 서울 여의도에 오픈할 예정이다."(지난달 25일 한성숙 네이버 대표)

#2 "금융회사를 위한 '퍼블릭 금융 클라우드'를 구축했다. 본격적으로 금융전용 클라우드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6일 신수정 KT 부사장)

#3 "세계 최초로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VR 게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겠다."(7월 LG유플러스)

국내 IT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신성장 동력으로 설정하고 출사표를 던졌다. 하지만,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MS)·구글 등 글로벌 선두 업체들과 경쟁하기에는 격차가 크다는 평가가 나왔다. 

무엇보다 원가 경쟁 자체가 안된다는 분석이다.

신수정 KT 부사장이 클라우드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KT]

◆ "국내 클라우드, 아마존보다 100배 비싼 부품 사용...원가 경쟁력 없어"

최준균 카이스트 교수는 "구글·아마존은 클라우드 구축에 싸구려 CPU·메모리를 사용해 자주 고장이 난다"며 "축구장 사이즈의 데이터센터에 10% 이상은 항상 고장 상태다. 하지만 뛰어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기술로, 밖에선 전혀 눈치를 못챈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이어 "네이버를 비롯한 KT·LGU+ 등 국내 클라우드는 이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기술이 없다"면서 "그 결과 아마존·구글이 사용하는 제품보다 100배 이상 비싼 레이드(RAID) 디스크를 사용한다. 클라우드 원가 경쟁 자체가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네이버 클라우드는 상품·서비스 안내에서 △SSD △테슬라(TESLA) 아키텍처(P40) GPU 등 고성능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했다는 점을 내세웠다. 반면 아마존은 △HDD △ P2 GPU 등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8일 현재 온라인상에서 앤비디아의 P40 GPU가 1254만원, P2는 24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아마존 주도의 클라우드 치킨게임에서, 국내 업체들이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아마존 관계자는 "아마존은 클라우드 서비스 가격을 계속 인하하며, 시장 가격 하락을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2006년 출범 이후 무려 73회나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가장 최근은 지난 6월11일에 진행됐다.

한주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데이터센터는 초기 대규모 인프라투자가 필요하다"며 "아마존·MS는 연간 10조원 이상 투자를 집행했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수록 운영비용 등 고정비 절감 효과로 가격경쟁력이 생기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아마존은 지난 5월17일 기준 전 세계 5000여 정부 기관, 1만여 교육 기관, 2만8000개 비정부 기구가 AWS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결국 아마존 주도의 클라우드 시장 가격에 국내 업체가 따라갈 수밖에 없다.

네이버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아마존을 사용하는 삼성전자(모바일, 스마트TV 부문)가 굳이 네이버로 넘어올 이유가 없다"고 인정했다. 국내에선 현재 LG전자, 넥슨, 신한은행, KBS, SM엔터테인먼트, 서울대학교 등이 AWS를 사용중이다.

◆ 서비스 '질' 차이, '넘사벽' 수준..."LGU+·KT는 클라우드로 부르기도 민망"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와 질(Quality) 차이도  '넘사벽' 수준이다.

한 연구원은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선발주자들은 서비스 종류가 훨씬 광범위하다"며 "최근 클라우드 활용 목적이 서버·데이터 저장에서 인공지능 등 고도화된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선발주자와 후발주자의 경쟁력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최준균 교수는 "국내 업체들이 아마존·구글을 따라갈 경쟁력이 없다"며 "기술력을 1~10단까지 있다고 치면 아마존은 10단, 네이버는 5단, KT·LGU+는 단수도 없다. 좀 심하게 말하면 KT·LGU+는 클라우드라 부르기도 민망하다. 그냥 데이터센터"라고 꼬집었다.

아마존 관계자는 "아마존은 IT 운용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클라우드로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래아한글'은 아마존 클라우드에 소프트웨어를 올려놓은 형태"라면서 "시리얼만 입력하면 사용자가 클라우드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국내 클라우드는 아직 그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AWS는 △애널리틱스 △로보틱스 △머신러닝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보안 △하이브리드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미디어 △앱개발·구축·관리 등165종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네이버는 △게임 △비지니스 △전자상거래 △웹호스팅 △화상회의 △의료·병원 △교육·기술자격증 △재해 복구 △IoT 등 총 13종의 솔루션을 제공중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미국 FBI 등 아마존 클라우드를 이용중"이라면서 "이런 특수 영역까진 네이버가 커버하지 못한다. 아마존이 다양하고 스페셜한 클라우드 상품군을 보유한 선두 주자"라고 인정했다. 

실제 미 해군(U.S. Navy),카네기 멜론 대학교 등 2400개 교육기관, 미국내 연구기관 96%가 AWS를 사용중이다.

swiss2pac@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