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중폭 개각을 단행했다. 장관급을 포함해 8명이 교체됐다.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장관직을 유지한 '문재인 1기' 장수 장관들이다. 강경화 외교부·김현미 국토교통부·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주인공들이다.
◆온갖 악재에도 강경화 유임...전문가 "외교과제 산적…연속·지속성 감안했을 것"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 등 외교안보 사안이 엄중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특히 대일(對日)외교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외교적 갈등이 불거지기 전 외교라인 가동, 물밑 접촉 등을 통해 사전에 예방했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대북 이슈 대응에 대해서도 논쟁은 이어졌다. '노딜'로 끝난 북미정상회담 이후 미국과의 공조를 통해 북한을 더욱 적극적으로 비핵화 협상에 견인했어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
더불어 최근 북한이 잇따라 단거리 탄도미사일, 신형 방사포 시험발사 등으로 '무력시위'를 이어가며 외교·안보라인 교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 소장은 "외교·안보 쪽은 연속·지속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통령이 유임 결정을 내린 것 같다"며 "지금 당장은 현안 대처에 정신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엄 소장은 그러면서 "지금 외교라인을 교체한다는 것은 대통령 본인 스스로가 외교정책을 실패했다는 것을 대내외에 천명하는 것과 다름 없다"며 "당장 교체는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현미·박능후도 장수장관 대열…후임자 물색 어려워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지난 3·8 개각에서 후임자의 인사청문 낙마로 인해 계속해서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케이스다. 그간 청와대 안팎에서는 김 장관이 내년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국정감사 전에 퇴임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실제 김 장관도 지난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총선에 출마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결국 김 장관 유임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이 같은 배경에는 '인물난'이 가장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엄 소장은 "총선 출마 희망자들을 대체할 인물이 없는 것 같다"며 "여성장관 비중도 일정 정도 맞춰야 한다는 이유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서울=뉴스핌] 이한결 기자 = 김현미(왼쪽) 국토교통부 장관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착석해 있다. |
엄 소장은 이어 "김현미 장관의 지역구인 경기 일산이 더불어민주당한테 (내년 총선에서)나쁘지 않다"며 "관련된 영향도 아예 없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장수(長壽) 장관 대열에 함께 오른 박능후 복지부 장관도 후임자 찾기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후임자로 거론됐던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인사 검증과정에서 '부적격' 판결을 받아 유임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에서 대구·경북(TK) 출마를 요청했다는 말이 나온다.
아울러 복지부는 현재 공석인 기획조정실장 등 실국장급 인사를 조만간 실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강경화 장관과 김현미 장관, 박능후 장관 등 장수 장관들도 연말께로 예상되는 추가 개각에서는 바뀌게 될 것"이라며 "그 때 오히려 대폭 개각이 이뤄질 가능성이 많다. 이낙연 총리를 비롯해 유은혜 교육부총리 등 총선 출마 대상자들이 연말께 대거 거취를 정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국무총리직을 수행했던 이낙연 총리도 유임됐다. 그간 청와대 안팎에서는 문 대통령이 일찌감치 유임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얘기가 나돌았다. 이 총리가 오는 10월 26일까지 총리직을 유지할 경우, 1987년 개헌 이후 최장수 총리가 된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