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서울시교육청, 옛 조선신궁터에 ‘위안부’ 기림비 세운다

기사등록 : 2019-08-12 11:1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교육청·서울시청·정의기억연대 협력해 건립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서울시교육청이 ‘위안부’ 기림비를 세운다.

[사진 제공=서울시교육청]

서울시교육청은 12일 “서울시청과 협력해 올해 2번째 맞이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인 14일 서울시교육청 부지에 위안부 기림비를 세우고 오후 3시 제막식을 거행한다”고 밝혔다.

위안부 기림비는 일본 식민지배의 상징이자 옛 조선신궁터 자리인 현 남산 자락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앞에 세워진다. 서울시교육청은 국유재산의 용도나 목적에 부합하다고 판단, 서울시교육청의 부지를 무상 사용하도록 제공했다.

기림비는 2017년 미국 대도시 최초로 위안부 기림비가 세워졌던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의 교민들이 자발적으로 모금을 모아 제작하고 서울시청에 기증해 서울로 옮겨왔다.

기림비 제작 및 건립 비용은 2012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 위안부 기림비 설립에 큰 역할을 했었던 비영리단체 ‘김진덕‧정경식 재단’에서 부담했다.

작가는 샌프란시스코에 설치된 기림비 동상을 만든 작가인 미국 조각가 스티븐 와이트(Steven Whyte) 작품이다.

기림비는 약 160cm 높이의 실물 크기로, 한국-중국-필리핀 소녀들 세 명이 손을 맞잡고 이를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바라보는 모습이다. 관람자는 직접 기림비 세 명 소녀상 옆의 빈 곳에 들어가 소녀들과 함께 손을 잡고 동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국적과 세대를 넘어선 ‘참여와 소통’ ‘과거와 현재의 연대’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기존 샌프란시스코 기림비와 차별화된다”며 “기림비 동상의 주변으로는 안중근의사기념관, 한양도성 현장유적박물관, 기억의 터, 백범 김구 동상, 안중근 동상 등이 자리하고 있어 초‧중‧고 역사교육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존엄과 명예 회복의 계기인 동시에 한일 양국이 역사의 진실과 정의를 마주하며 화해하고 평화 공존 번영의 길을 함께 걸어갈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위안부 기림비 제막식에는 서울시교육청·서울시청 관계자, 서울시의회,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샌프란시스코 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kmki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