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소영 기자=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공산당원이 된 시드니 리텐버그(Sidney Rittenberg)가 지난 24일 향년 9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홍콩이 민주화 운동의 소용돌이에 휩싸인 상황에서 생전 홍콩의 민주주의 위기를 우려했던 시드니 리텐버그의 일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의 소리(VOA) 중문판은 시드니 리텐버그의 사망 소식을 전하며, 중국 근현대사와 그의 깊은 인연을 재조명했다. 공산당의 '나팔수'이자 문화대혁명의 외국인 선봉자에서 사회주주의 허상을 깨닫고 민주주의 수호자로 변모한 그의 일생은 영화만큼이나 극적이다.
그는 마오쩌둥(毛澤東), 저우언라이(周恩來), 류사오치(劉少奇) 등 오늘날의 사회주의 중국을 이끈 유력 정치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었고, 격동의 중국 현대사를 몸소 체험한 역사의 산 증인이기도 하다.
◆ 최초의 미국인 공산당원 "문화대혁명 참가 후회"
마오쩌둥(왼쪽)과 시드니 리텐버그(오른쪽) <자료=미국의 소리(VOA)> |
시드니 리텐버그는 1945년 미군과 함께 중국으로 건너왔다. 세계 2차대전 종식 후에도 중국에 남았고, 중국 공산당 진영에 합류하여 공산당 이념을 전파하는 외국 전문가로 활동하게 됐다.
그는 1946년 중국 공산당 혁명의 성지인 옌안(延安 연안)에서 마오쩌둥(모택동)을 알게됐고, 당시 다른 공산당 핵심 지도자들과도 관계를 맺게 됐다. 공산당 지도부는 그를 중국 공산당 선전 기구였던 신화사 외국 전문가로 기용했다. 시드니 리텐버그는 이때 중국 공산당에 가입, 최초의 중국 공산당원 자격을 획득한 미국인이 됐다.
'타락한 부르주아' 민주국가 '미국'을 등지고 중국 공산당을 택한 그는 초기 중국 공산당에게 큰 신임을 얻었다. 1966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기념 행사에 초청돼 천안문 성루에서 마오쩌둥과 기념 사진을 촬영할 정도였다. 이때 그가 당시 공산당의 '경전'처럼 여겨지는 '마오쩌둥 어록(毛澤東語錄)'에 사인을 하는 사진이 인민일보에 실리기도 했다.
그러나 공산진영에서 '미국인 공산당원'의 순탄한 생활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1949년 소련의 스탈린이 그를 국제간첩으로 지목하자 중국 공산당이 그를 체포했다. 간첩 혐의로 그는 6년여동안 감옥생활을 해야 했다. 1955년 스탈린 사망으로 석방된 시드니 리텐버그는 여전히 중국에 남길 원했다. 중앙라디오사업국에서 외국전문가 역할을 맡아 영어 원고를 감수했다. 또한 '마오쩌둥 선집(毛澤東選集)'을 영어로 번역했다.
위기는 또 다시 찾아왔다. 1966년 문화대혁명이 발발한 후 그는 '반동분자'로 찍혀 다시 옥살이를 하게 된다.
시드니 리텐버그는 당시 '민주혁명'으로 여겼던 문화대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외국인 공산당원으로 구성된 '백구은-연안조반단(白求恩-延安造反團)'에 가입하고, 문화대혁명을 전파하는 외국인 선봉자의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문화대혁명의 불길은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전개됐고, 문혁에 적극 가담한 그는 오히려 배신자의 누명을 쓰고 감옥게 갇히게 된다. 미국 첩자 혐의로 그는 10년 동안 옥살이를 하게됐다.
훗날 그는 문화대혁명을 부인하고, 잘못된 판단으로 문혁에 참가한 것에 후회감을 표시했다.
"문혁은 잘못된 것이었다. 무산계급 정권의 이론 자체가 틀린 것이었다. 그들은 독재의 방식으로 민주주의의 최고가치를 실현한다고 외쳤지만, 그들은 독재를 통해 더 많은 독재를 양산했다."고 그는 밝혔다.
그는 저서에서 "공산주의 이념을 통한 새로운 세계 수립을 꿈꿨지만, 혁명의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 내가 한때 그 활동에 참여했다는 점이 오늘까지 나를 괴롭게 한다"라고 회고했다.
◆ 홍콩 민주주의 앞날에 일찍부터 우려 표명
2016년 VOA와 인터뷰 당시의 시드니 리텐버그 |
그는 1980년 중국인 아내 왕위린(王玉琳)과 함께 중국을 떠나 미국으로 돌아왔다. 귀국 후 생활은 힘들었지만, 중국 사회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이해, 다양한 인맥을 자산으로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때마침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그의 자문을 필요로 하는 기업가가 많았다.
마이크로 소프트를 창업한 빌 게이츠, 세계 최대 컴퓨터 제조상 델의 창업자 마이클 델 등 미국의 걸출한 사업가들이 그를 찾았다. 한때 '국제 공산주의 전사'로 활약했던 그가 국제 자본주의와 손을 잡게 된 것이다.
그는 새로운 사회 건설을 이룩할 것이라고 기대했던 사회주의에 대한 실상을 목도하고, 공산주의에 대한 깊은 회의감을 느꼈다. 또한 미국에 돌아온 후 빈곤계층을 억압한다고 여겼던 자본가들이 실제로는 매우 치열하게 일하며, 굉장한 능력이 있는 존재라는 것을 발견하게 됐다.
한때 '공산진영의 선전대' 역할을 했던 그는 이러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민주주의의 가치를 누구보다 더욱 소중하게 생각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는 지난 2016년 VOA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홍콩의 사태를 매우 우려했다. 홍콩의 민주주의가 침해를 받는 것을 '비극'이라고 표현했다. 3년 후인 올해 홍콩의 민주화 운동이 들불처럼 번지면서 당시 그의 발언이 재조명되고 있다.
그는 "홍콩은 더많은 자치와 권리를 본토에 요구한다. (그러나 베이징은) 말썽을 부리지 않으면 더 많은 권리를 주겠지만, 말을 듣지 않으면 더 탄압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렇다고 (홍콩의) 청년들에게 (자유와 민주주의를) 쟁취하지 말라고 할 것인가? 그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중국은 홍콩에 자유를 주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가능하지 않다. 베이징이 정권을 잡고 있는한 그것은 불가능하다."라고 밝혔다.
그는 "그럼에도 시진핑 주석과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정치개혁을 추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고 덧붙였다.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