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기락 기자 = 수소전기자동차 등 미래차의 일부 부품이 일본 의존도가 높은 탓에 자동차 업계와 정부가 해법찾기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대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지원이 중소기업 보다 낮다는 주장도 나왔다.
신달석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은 29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서 열린 ‘자동차 소재부품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방안’ 포럼에서 “미래형 자동차에 필요한 소재·부품의 국산화는 물론, 자동차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경쟁력 강화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이사장은 “현재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부품 국산화가 90%를 상회하는 수준이며, 일부 차종에 들어가는 소수의 특별한 부품에 한해 글로벌 협력 관계상, 혹은 국내 생산에 필요한 규모의 경제 미달 등을 이유로 수입해 쓰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수소차 등 전기차의 경우 일부 핵심소재는 대일 수입 의존도가 다소 높아 독자적인 기술 자립을 위해 정부와 업계가 함께 해법을 찾아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신 이사장은 “지난 수년간 국내 완성차업체의 생산 감소로 부품업체의 수익구조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기관들은 여신축소 혹은 대출 회수에 나서 부품업체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고 어려움을 전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정부의 R&D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회장은 “대기업 R&D 지원비중이 2011년 17.7%에서 2017년 4.6%로 줄어든 반면, 중소기업 R&D 지원비중은 중소기업부 발족 등으로 중소기업 전용 R&D 자금이 확대되면서 2011년 25.5%에서 44.3%로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17년 기준 R&D 수행기업수도 4만1629개로, 일본 1만927개, 미국 5만4000여개 보다 많은 이유는 수행역량에 대한 고려 없이 나눠먹기식 지원 확대가 일부 원인이 있어 보이며, 그만큼 R&D 생산성을 떨어뜨렸다”고 말했다.
사진공동취재단=이낙연 국무총리가 30일 오후 경기 화성시 현대기아차 기술연구소를 방문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2019.01.30 |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