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국내 소재산업의 연구개발(R&D) 투자 및 연구인력이 전제 산업의 평균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업들은 소재·부품산업의 특성상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컨소시엄형 R&D가 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대-중소기업 간 협력형 R&D사업의 추진도 요청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는 4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국내 소재부품기업의 일본 수출규제 대응실태 및 R&D현황’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 9일부터 26일까지 소재부품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 수출규제 대응실태’ 조사와 2017년 부품소재 기업 R&D투자 및 연구인력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했다. 이번 조사에는 산업통상자원부 부품소재 확인기업 중 기업연구소 보유기업 2307개사 가운데 272개사가 응답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전경 사진 [뉴스핌 사진DB] |
현황 발표자료를 보면 기업부설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 중 소재부품관련 산업으로 분류되는 R&D는 기업 수의 30.4%, 연구개발비의 70.5%, 연구원 수의 56.4%를 차지하는 등 산업 내 R&D 위상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소재산업의 경우 연구소를 보유한 소재분야 기업이 3479개사로 부품산업(1만5859개사)의 20% 수준에 불과했다. 소재산업의 기업 당 평균 연구개발비도 12억원으로 전산업(15억원)에 비해 낮았으며, 매출액대비 R&D투자액도 2.05%로 전산업(3.32%)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기업들은 소재부품 기업에 대한 전문연구요원 배정 등 고급인력 지원확대, 대·중소 공동 R&D사업 추진, 연구용 화학물질 관리기준 완화 등을 요구했다.
구체적으로 기업들은 소재부품 분야에 고급인력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 소재부품 기업에 대한 전문연구요원 배정 확대 등 적극적 지원방안을 주문했다.
또한 소재·부품산업의 특성상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컨소시엄형 R&D가 효율적이라고 지적, 대-중소기업 간 협력형 R&D사업의 추진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소재·부품의 성능 및 품질 확인을 위한 양산시험시설 구축과 연구용 화학물질 수입 시 등록을 면제하거나 패스트트랙 등록신청 절차의 신설을 제안했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