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넷플릭스를 잡아라." 넷플릭스 반대 세력들이 결의를 다지는 소리가 사방에서 들려옵니다.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ver the top‧OTT) 시장이 넷플릭스 대 반(反)넷플릭스로 갈라진 형국입니다. 해외에선 애플과 디즈니가 넷플릭스 잡기에 나섰고, 국내에선 토종 사업자들이 세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 업계가 직면한 고민은 무엇이고, 한류 콘텐츠와 토종 OTT가 경쟁력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이 [OTT戰] 시리즈를 통해 짚어보고자 합니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언제 어디서든 콘텐츠를 보고 즐길 수 있는 'N스크린' 시대. 콘텐츠 제작 업계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ver the top‧OTT) 플랫폼의 등장으로 변곡점을 맞이했다. 과거 지상파3사 편성에 목숨 걸던 외주 제작사에게도 OTT 사업자가 콘텐츠 투자를 늘리며 새로운 시장이 열렸다.
대표적인 OTT 사업자인 넷플릭스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오리지널 콘텐츠에 2배 가까이 투자를 확대하며 콘텐츠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토종OTT와 해외OTT가 공존하며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이 때가 콘텐츠 제작사 입장에선 매출 구조 다변화를 노릴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킹덤' 제작사 에이스토리 IPO 성공...넷플릭스향 콘텐츠제작 붐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을 제작했던 에이스토리는 지난 7월 코스닥 시장 상장에 성공했다. 킹덤의 회당 제작비는 20억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지상파나 종편 드라마 회당 제작비가 평균 2억~3억원 수준인 것에 비춰보면 10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이상백 에이스토리 대표는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기존 국내 제작사, 방송사 중심의 콘텐츠 제작 환경이 글로벌 미디어 제작사,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다"면서 "국내 드라마 제작과 동시에 해외 시장이 타깃인 콘텐츠 제작을 늘려 이제껏 한국 드라마 제작사가 가보지 못한 길을 개척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국내 콘텐츠 제작사 입장에선 글로벌 시장에서 해외 공룡 OTT 사업자가 격전을 펼치고 있는 상황은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는 더 많은 플랫폼이 열린다는 의미에서 긍정적이다. 특히 OTT 사업자간 경쟁 속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디즈니와 같은 이미 고품질 콘텐츠를 다량으로 확보하고 있는 신규 OTT 사업자와 경쟁을 해야 하는 한편 포화된 미국 OTT 시장에서 더 나아가 해외로 진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해외 OTT 사업자가 해외로 진출해 콘텐츠의 문화, 언어적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선 현지 콘텐츠 제작사와 손잡고 로컬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막대한 제작비를 투자해 '킹덤'이나 '좋아하면 울리는', '첫사랑은 처음이라서' 등과 같은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든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에 외주 제작사들 사이에선 넷플릭스향 콘텐츠를 생산하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외주 제작사 입장에선 넷플릭스와 계약을 맺고 제작을 하게 되면 막대한 제작비를 투자받을 수 있는 한편 시즌제로 제작되기 때문에 꾸준한 수익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토종OTT가 '국뽕('국'가와 히로'뽕'이 합쳐진 말로, 자국만 최고라고 여기는 행위)'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지만 외주 제작사 입장에선 토종OTT 보다 확실히 콘텐츠에 투자하는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OTT를 반길 수 있다"면서 "콘텐츠 투자 규모 면에서 상대가 안 되기 때문"이라고 귀띔했다.
◆웨이브 3000억원, 외주 콘텐츠 제작사엔 얼마 풀릴까?
콘텐츠 제작 업계는 OTT 시장에 '웨이브(SK텔레콤과 지상파3사의 연합 OTT 플랫폼)'란 새로운 토종 OTT 사업자가 진입하며 콘텐츠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은 사실이다. 넷플릭스가 로컬 콘텐츠 제작을 이어가고는 있지만 그 수가 많지 않아 수혜를 받는 곳은 일부 콘텐츠 제작사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강준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글로벌 OTT가 최근 들어 아시아 등 로컬 시장에 특화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콘텐츠 구매를 활발하게 하고 있지만 그 규모는 아직까지 미국 시장의 콘텐츠 제작비에 비해 제한적인 수준"이라며 "비용 대비 효율을 고려할 때 로컬 OTT 사업자의 목표는 로컬 서비스의 완전한 대체라기 보단 글로벌 서비스 판매를 위한 일종의 '미끼상품' 확보로 한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웨이브는 이미 2023년까지 콘텐츠 제작에 3000억원을 투자할 것이란 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2019년 우선 드라마 '녹두전'에 100억원을 투자하고, 이어 2020년 500억원, 2021년 600억원, 2022년 800억원, 2023년 1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액 중 2000억원은 재무적투자자(FI)를 통해 투자 재원을 확보했다.
한 외주 제작업계 관계자는 "웨이브가 출범하며 외주제작 업계의 관심은 외주제작 오리지널 콘텐츠에 웨이브가 돈을 얼마나 쓸 것인가와 저작권은 어떡할 것인가에 쏠려 있다"면서 "넷플릭스의 경우 상당한 돈을 들여 완성된 콘텐츠를 만들었지만 생각보다 그 편수는 많지 않았고, 저작권도 넷플릭스 쪽에서 가져가 영향력이 국한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토종 OTT 플랫폼이 어떤 정책을 쓸 것인가를 봤을 때 기존 넷플릭스처럼 저작권을 다 가져가는 방식이면 콘텐츠 제작사로선 별로 도움이 안 될 것"이라며 "반면 제작비 마진과 저작권을 일정부분 열어주면 제작사 입장에서 콘텐츠 창작이나 부가 수입을 얻어 재투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