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美공화당, 北단계적 비핵화에 여전히 부정적 "트럼프의 딜레마"

기사등록 : 2019-09-27 09:5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메도우스 "'단계적·동시적' 합의 가능성? 그런 일 없어"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미국의 공화당 의원들은 북한의 단계적 비핵화 방식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딜레마'라며 일괄타결이 해법이라고 주장했다.

27일 미국의소리(VOA)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중 한명인 공화당의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단계적 접근은 항상 같은 결과로 이어진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레이엄 의원은 "북한은 무조건적으로 비핵화를 하고 한국과 미국, 6·25 전쟁의 모든 당사국들 간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며 "대북 경제 원조 제공과 체제 보장을 모두 한 번에 하는 패키지 합의를 해야한다"고 했다.

공화당 내 또 다른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마크 메도우스 하원의원은 북한이 비핵화 방법론으로 주장하는 '단계적·동시적'에 대한 북미 간 합의 가능성에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6월 30일 판문점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메도우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구하는 합의는 전부 아니면 전무"라며 "비핵화 아니면 전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교착국면을 타개하기 위해서 미국이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면서 "경제발전을 원하는지 여부는 북한이 결정해야 하고, 그 이후에 미국은 북한을 도와줄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반대로 미국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 의원들과 다른 입장을 내놨다. 단계적 합의를 기반으로 한 비핵화가 현실적인 접근이라고 했다. 단, 이를 위해서는 북핵 신고가 선결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의 벤 카딘 상원의원은 "과거 실패한 단계적 접근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미국과 단계적 비핵화 방안을 논의하기 전 핵 신고는 물론 이에 대한 검증까지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카딘 의원은 이어 "북한의 비핵화는 가장 이상적인 상황에서 단계적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미국도 알고 있다"면서도 "현재로선 북한이 미국과 핵 프로그램 현황을 공유하고 어떻게 단계적 절차를 밟을 것인지에 대한 약속조차 받지 못해 문제"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의 팀 케인 상원의원도 "북한이 핵 프로그램 신고에 동의하지 않는 이상 미국은 북한이 비핵화에 진지하다고 믿을 이유가 없다"며 단계적 접근법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선결 조건으로 북 핵 신고를 제시했다. 

no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