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한국철도공사가 ‘한국철도(코레일)’로 약칭 변경을 추진하고, 일본식 용어를 한글로 바꾸는 등 우리말 표기를 전사적으로 추진한다.
한국철도공사는 영어식 표기인 ‘코레일(KORAIL)’을 대신할 새로운 한글 약칭으로 ‘한국철도(코레일)’에 대한 대국민 제안을 시행한다고 8일 밝혔다.
한국철도 시그니쳐 로고 [사진=코레일] |
공사가 약칭 변경에 나선 이유는 최근 국민적 한글 사용 추세를 반영하고 공기업으로서 한글사랑에 앞장서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한국철도공사는 공식 문서·법령·계약서 등에 사용하는 법인명은 ‘한국철도공사‘로 하고 홈페이지·고객안내문·보도자료 등의 커뮤니케이션명은 ’코레일(KORAIL)‘로 나눠 사용해 왔다.
그러나 한국철도공사·코레일(KORAIL)·철도공사 등 다수의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이용객 혼란과 기업 이미지 통일에 어려움이 있었다.
공사 관계자는 “한글명으로 약칭을 변경하면 국민 누구나 부르기 쉽고 전달력이 좋아 기업의 인지율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새롭게 약칭을 변경한 후에는 국민들에게 약칭 변경을 널리 알리고 초기 혼선을 줄이기 위해 영어식 표기인 ‘코레일’을 ‘한국철도’에 붙여서 사용할 계획이다. 영어 표기는 대외 인지도를 고려해 ‘KORAIL’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인 동력분산식(EMU) 차세대고속열차의 명칭도 정감어린 우리말 이름으로 붙일 계획이다.
내년 초 국민이 참여하는 공모행사 등을 통해 EMU-320·EMU-250, EMU-150에 대한 우리말 이름을 각각 공모해 결정할 방침이다.
또 그동안 추진해온 철도용어 순화작업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작년 9월부터 어려운 철도분야 전문 및 업무 용어 등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해 현재까지 약 7000여개의 용어와 문구를 순화했다.
특히 1999년말부터 대합실→맞이방, 승강장→타는곳 등 일본식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기 시작한데 이어 착선대→도착선 대기, 타절→도중운행 중지, 기외정차→정거장 밖 정차, 선착→먼저 도착 등 업무 용어의 순화 작업도 마쳤다.
손병석 한국철도공사 사장은 “진정한 국민의 철도가 되기 위해 누구나 친숙하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갖는 게 중요하다”며 “공기업으로서 우리말 사랑에 앞장서고 모범을 보이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