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중국

'미국이 무역협상에 속도' 중국 매체 협상 분위기 낙관 전망

기사등록 : 2019-10-16 17:3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미국 협상단 협상 앞두고 '선의' 내보여
무역협상 기존 합의 내용 연장 선상서 진행
건국 70주년 행사 마무리되는 점도 긍정 요소

[서울=뉴스핌] 정산호 기자 = 지난 10일~11일(현지시간) 미·중 양국이 워싱턴 DC에서 진행한 고위급 무역협상의 결과에 대해 중국 매체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번 ‘부분합의’가 미·중 두 경제 대국의 경제 전면전을 막은 데 의미가 있으며 어느 때보다 미국이 협상 타결에 의욕적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는 15일 양국의 무역협상 분석기사를 통해 "협상이 기존 합의 내용의 연장 선상에서 이뤄지고 있다"면서 "지난 회담들과 달리 미국이 합의에 서두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서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오른쪽부터)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및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2019.10.10. [사진= 로이터 뉴스핌]

이번 무역 협상을 통해 미국은 15일부터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 상품에 부과하기로 한 관세 인상 방침을 철회했다.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400~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을 구매하기로 했다.

또한 쟁점 분야에서도 일정정도 진전을 이뤘다. 지난 15일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고위급 무역협상을 통해 양국이 농업과 지적 재산권 보호, 환율, 금융서비스, 기술이전, 분쟁해결 분야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덩위원(鄧聿文) 중국 전략분석 싱크탱크 연구원은 FT 중문망 기고문에서 이번 협상의 특징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협상단의 ‘선의’에 주목했다. 미국은 무역협상을 앞둔 시점에 위협성 발언을 내놓으며 중국을 압박했다. 중국의 통신 장비업체 화웨이(華爲)나 남중국해, 대만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 최근에는 신장웨이우얼 지역의 인권문제를 꺼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회담은 달랐다. 기복이 심하기로 유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조차 말을 아꼈다. 심지어 기자회견에서는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소식을 전하며 “무역전쟁의 끝이 멀지 않았다”며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때문에 이번 부분합의는 "두 경제대국의 경제 전면전을 막았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를 바꾼 주요 원인으로는 경기침체로 인한 지지층 이탈 우려와 재선이 꼽힌다. 미·중 무역전쟁을 통해 중국에 부과된 관세로 미국 중산층의 가계 부담이 증가했고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이 몰려있는 농민들의 타격이 컸다.

또한 주요 경제지표 및 증시가 부진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매체는 이번 무역협상에서 중국이 양보한 것이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줄곧 미국으로부터 농산물 구매를 희망해 왔고, 지적 재산권 보호 안에도 찬성해 왔다. 자국 산업발전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내용은 이미 지난 6월 협상에서 다뤄진 내용이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지난 6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협상이 90%가량 합의를 이뤘고 나머지 10%가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부분 합의는 이미 이뤄진 90% 합의 내용에 세부 사항을 더한 성격이 짙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남은 관건은 두 정상의 정치적인 선택에 달렸다고 주장했다.

만약 두 정상이 이미 이룬 90%에 초점을 맞춘다면 향후 협상은 순조로울 것이지만 남은 10%에 집중하면 협상은 난항을 거듭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체는 미국이 협상 타결을 서두르고 있어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을 크게 봤다.

므누신 재무장관은 14일(현지시간)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12월로 예정된 3000억 달러 중국산 수입 제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 밝혔다.

그는 또한 향후 몇 주 동안 자신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및 류허(劉鶴) 부총리와의 삼자 전화회담을 비롯해 다양한 실무급 회담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매체는 이러한 점을 들어 미국이 협상 타결에 조급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매체들이 협상 전망을 어둡게 하는 발언으로 이해한 내용을 반대로 ‘이때까지 합의를 이룰 것’이라는 의지의 해석으로 받아들였다.

신중국 건국 70주년 행사가 대부분 마친 점도 긍정적인 요인을 꼽았다. 덩 연구원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남은 기간 동안 무역협상에 전념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chu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