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뉴스핌] 양상현 기자 = 경기 파주시는 군인 30명, 엽사 24명, 직원 10명 등 64명으로 6개 조를 편성해 지난 16일 오후 6시부터 17일 오전 6시까지 야생멧돼지 총기 포획 활동을 한 결과, 모두 17마리를 잡았다고 17일 밝혔다.
야생 멧돼지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앞서 파주시는 15일 오후 6시부터 16일 오전 6시까지 50여명의 포획단을 꾸려 총기 포획에 나섰지만 포획 개체수는 6마리에 그쳤다.
사살된 야생멧돼지는 군부대가 지정한 장소에 매몰 처리했다.
이틀 동안 잡은 야생멧돼지가 23마리에 그치면서 총기 포획으로 민통선 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막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멧돼지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포획을 실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환경부는 서식지별로 도주 가능 경로를 차단하면서 일제 포획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수렵인 300~600명이 30일 가량 작업할 때 예산만 18억~36억원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해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내부적으로 타 시군의 포획단원이 집결하면 바이러스 확산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지역에서 총기포획을 실시하면 멧돼지 출혈이나 사냥개에 의해 전파 우려가 커진다는 당국의 주장을 스스로 뒤집은 것이어서 방역의 혼선이 지속되고 있다.
앞서 환경부는 돼지열병이 발생한 지역을 총기포획 대상지역에서 제외했다. 포획 시 발생하는 출혈, 엽견(사냥견)의 활동으로 오히려 바이러스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대신 발생지역에 포획틀을 설치하겠다고 했지만 효율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게다가 민통선 내에는 미확인 지뢰지대가 많아 산속에 들어가는 게 위험하기 때문에 이번 총기 포획은 도로에서 농경지나 민가로 먹이를 찾아 내려오는 야생멧돼지를 잡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일단 파주시는 이번 두 차례의 야생멧돼지 총기 포획으로 활동을 종료할 방침이다.
파주시 관계자는 "총기 포획이 연장될지는 농림축산부와 국방부가 협의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yangsangh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