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박기은 CTO "네이버 클라우드, 국내 적수없다...아마존·구글 정조준"

기사등록 : 2019-10-18 16:0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박기은 네이버 비지니스 플랫폼(NBP) CTO 인터뷰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네이버·아마존·구글의 공통점은 개념설계 능력을 보유했단 겁니다. 네이버는 최신 기술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지난 10일 서울 강남에서 만난 박기은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NBP)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네이버 클라우드를 놓고 애국마케팅을 정중히 사양했다. 그는 네이버가 가진 기술 역량으로도 충분히 글로벌 1위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출했다.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박기은 네이버 비지니스 플랫폼(NBP)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지난 10일 서울 강남 NBP 사무실에서 뉴스핌과 인터뷰하고 있다. 2019.10.18 swiss2pac@newspim.com [사진=김지완 기자]

◆ 네이버 클라우드, 10년 뒤처져? 기술 전혀 모르는 소리...핵심기술 모두 내재화

구글·아마존에 비해 기술력이 뒤처졌단 논란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아마존·구글이 10년을 앞서 시작했다고 해서 기술력이 10년 뒤처졌단 인식은 잘못됐다. 1995년 처음 '아파치 HTTP 서버'가 나왔을 땐, 한목소리로 미국 서버 기술이 최고라 칭송했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됐다. 더는 국적을 따지지 않는다. 클라우드도 마찬가지다."

그는 클라우드 핵심 역량 중 하나인 '안정성'을 대표 사례로 언급했다.

"구글이 처음 '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링(Site Reliability Engineers)'개념을 창안했다. 구글은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에서 가장 떠오르는 기술인 쿠버네티스(Kubernetes) 만들어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서버 점검 중에도 중단없이 웹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럼 네이버가 이 기술을 모르나. 아니다. 과거 아파치처럼 서점가에 기술서가 공급되면서, 수많은 개발자들이 학습하고 있다. 네이버는 오래전 내재화했다."

박기은 CTO는 네이버가 빅데이터 시대를 관통할 개념설계 역량을 보유했다고 강조했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DB) 저장 기술에선 '하둡(Hadoop)'을 빼놓곤 말하기 어렵다"며 "처음 이 기술 컨셉이 논문으로 나왔을 때, IT업계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네이버 클라우드 역시 하둡 개념설계가 그대로 적용된 DB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중요한 건 컨셉을 만드는 것과 그 기술을 만들어내는 건 전혀 다른 얘기다."

하둡은 모든 데이터를 '누가', '먼저' 요청했는지를 일일이 따져 확인하고 데이터를 열어주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이를 무시해도 되는 동영상 등 비중요 정보는 비관계형 DB에 별도 보관한 뒤, 요청자·요청시간 선후관계 등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열어준다. 금융정보 등은 관계형 DB로 분류해 저장하고, DB요청에 따른 응답 시간이 걸리더라도 꼼꼼히 따진다. 이전에는 DB 분류없이 한 곳에 저장했다.

그는 이밖에도 네이버가 클라우드 중요 기술인 트래픽 엔지니어링, 스위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등의 기술 역량들을 충분히 갖췄다고 자평했다.

또 네이버가 20년간 포털서비스를 하면서 직접 개발한 파파고(번역), 클로바(AI), OCR(광학문자인식) 등도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API(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개념설계 역량이 부재한 기업과 클라우드(PaaS) 개발환경에서 큰 차이가 난다는 얘기다. 

◆ "해외 클라우드 인기? 레퍼런스 영향...국내엔 적수없어"

국내 기업들이 외산 클라우드를 선호하는 건, 레퍼런스(Reference, 실적) 영향이 크다는 판단이다.

"넷플릭스는 아마존(AWS) 클라우드를 사용 중이다. 다들 착각하고 있다. 아마존만 쓰면 넷플릭스처럼 글로벌 전역에 안정적인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있고, 인공지능(AI) 추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넷플릭스 추천 기능은 자체 개발 소프트웨어다. 안정적인 영상 제공은 여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네트워크 사업자와 계약을 맺으면 되는 것이다. 넷플릭스가 AWS를 통해 서비스를 하니, 국내 굴지의 방송사가 아마존으로 갔다. 기업 의사결정에 이런 레퍼런스 영향을 많이 받는다."

네이버가 글로벌 서비스가 불가능하단 시장 오해도 있다고 말했다. 박 CTO는 "네이버는 2~3중화 전용 해저 광케이블로 북반구 전체를 두르고 있다"며 "지진·해인로 끊기면 다른 케이블로 전송이 가능하다. 국내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레퍼런스만 믿고 외산 클라우드를 택했다, U턴한 경우도 있다. 

"국내 굴지의 게임사는 미국에서 해외 클라우드를 통해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하지만 지금은 미국 현지에서 네이버 클라우드를 사용해 서비스 중이다. 미국은 국내와 비교할 수 없는 규모의 디도스(DDOS) 공격시도가 이어진다. 이 게임사 역시 디도스 공격으로 서비스가 중단되며 엄청난 손해를 입었다. 그럼에도 불구, 문제해결에 복잡한 대응 절차에 일주일이나 소요됐다. 우리는 단톡방에서 24시간 365일 실시간 대응해준다." 

네이버를 '국내 클라우드로 3강'으로 분류하는덴  강한 거부감을 표시했다.

"우리를 제외하면 두 곳이 남는 데, 한 곳은 아예 개념설게 역량이 없어 아웃소싱을 통해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시작은 빨랐지만, 서비스 개수가 우리 1/3~1/4 수준에 불과한 이유다. 금융클라우드 조차도 모 SI(시스템통합)업체에서 개발한 것으로 알고 있다."

"나머지 한 곳은 은 기술적 결함이 많은 오픈스택(OpenStack) 방식을 택했다. 이 기술은 10만명 이상을 넘어가는 대외 서비스엔 적합치 않다. 대용량 서비스를 하기 위해선 상당한 개발 인력을 투입해 수정해야 한다. 6개월 업데이트 주기마다 자사 버전에 맞추기 위해 엄청난 개발 인력을 반복적으로 투입해야 한다. 오픈스택은 대용량 서비스를 담을 그릇이 아니다. 오픈스택 방식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던 HP조차 이런 이유로 포기헸다. 구글·아마존·MS 등 글로벌 최대 클라우드 중에 오픈스택 방식을 찾을 수 없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swiss2pac@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