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문화

문화재청, 합천 가야문화 출토 유물 5건 보물 지정 예고

기사등록 : 2019-10-23 10: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를 비롯한 가야문화권 출토 중요 유물 5건에 대해 보물로 지정예고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지정 예고 대상인 가야 시대 유물 5건은 1980년대 발굴조사된 합천 옥전, 함안 마갑총 고분 등 대표적인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시기는 5~6세기에 제작된 것이다. 가야의 생활상과 기술 수준에 대한 실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유물들로 그동안 미진했던 가야 유물에 대한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재평가해 보물로서 가치를 인정했다.

합천 옥전 고분군 [사진=문화재청]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한 쌍은 1985~1986년까지 이뤄진 경상대학교 박물관의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것으로 현존하는 가야시대 '긴 사슬 장식 금귀걸이' 중 가장 화려하고 보존 상태가 뛰어나며 신라나 백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가야의 독창적인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는 좌·우 한 쌍이 온전히 남아있고 무덤의 주인공이 귀에 달았던 곳에서 발견돼 실제 사용된 사실도 확인됐다.

이 귀걸이가 중요한 이유는 가야귀걸이 양식의 가장 대표적이고 특징적인 양식인 가늘고 둥근 주고리(세환이식) 아래 속이 빈 공 모양의 장식을 단 것, 그아래 심엽형 장식을 달고 마지막 산치자 열매 모양의 입체형 장식을 단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특히 장식마다 금 알갱이를 테두리에 붙이거나 금선 형태를 만든 누금세공기법, 금판을 두드려서 요철 효과를 낸 타출기법 등 다양한 공예기법이 적용돼 가야 시대 금속세공기술이 매우 발달했음을 보여준다.

6세기 전반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융성했던 합천 지역 가야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으로 가야귀걸이 중 보기 드물게 누금세공기법과 타출기법이 모두 다 사용된 작품이라는 점에서 예술 가치가 높다.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사진=문화재청]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 한 쌍은 출토지와 발견 위치, 함께 출토된 유물이 확실해 고고학적 맥락이 뚜렷하고 현존하는 가야 산치자형 장식을 가진 금귀걸이 중 상당히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주고리의 2단 중간 장식, 격자형 원통형 금판으로 연결된 공 모양 장식, 인(人)자형 고리에 상치자형 장식을 달고 마지막 끝을 금 알갱이로 마무리한 것은 신라 금귀걸이의 중간식 형태와 가야의 산치자형 끝장식이 결합된 독특한 혼합양식으로, 6세기 가야 지역의 교류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이다.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은 1987~1988년 동안 경상대학교 박물관이 조사 중 발굴한 유물이다. 옥전 M3호분은 가야 고분 중 비교적 규모가 크고 도굴되지 않아 당시 최고 수장의 묘제를 가장 잘 간직하고 있는 무덤이다. 이곳에서 나온 대가야식 '고리자루 큰 칼 일괄' 4점은 여러 점의 칼이 한 무덤에서 일괄로 출토된 최초의 사례이자 손잡이와 칼 몸통 등을 금과 은으로 화려하게 장식해 삼국 시대 동종유물 중 제작기술과 형태 등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꼽힌다.

'함안 마갑총 출토 말갑 옷 및 고리자루 큰 칼'은 1992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마갑총 조사 때 발굴한 유물로 무덤 주인공의 좌우에 하나씩 매장돼 있던 것이다. 두 유물은 함께 나온 여러 유물들에 대한 연구 결과 5세기 아라가야에서 제작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철제 말갑 옷은 말머리를 가리는 투구, 목과 가슴을 가리는 경흉갑, 말의 몸을 가리는 신갑이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됐다. 말갑 옷은 그동안 여러 가야 고분에서 발견된 적이 있으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보존된 사례가 거의 없어 희귀성이 높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2차례에 걸쳐(2018년 3월28일, 9월 28일) 경상북도 등 지방자치단체와 국립박물관에서 신청한 소장품들 중 출토지가 명확하고 가야문화권의 특징이 반영된 유물 총 37건에 대해 문화재 지정이 가능한지에 대한 조사를 해오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 지정예고는 그 두 번째 결과로서, 앞으로 나머지 유물들에 대한 추가 조사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면 문화재 지정을 더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