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대전·세종·충남

카이스트, 상온에서도 구현·제어 가능한 양자입자 기술 개발

기사등록 : 2019-10-30 11:0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복잡한 저온 장치 없이 양자입자 관련 기초연구 가능
초유체 기반 집적회로·양자 시뮬레이터 등에 응용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앞으로는 복잡한 저온 장치 없이도 양자입자 관련 기초연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카이스트(KAIST)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연구팀은 극저온에서만 가능했던 빛과 물질의 성질을 동시에 갖는 양자 입자(엑시톤·폴라리톤)를 응축하고 상온에서도 구현·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구동 전류가 10배 이상 낮은 엑시톤·폴라리톤 기반의 신개념 레이저·비선형 광소자와 같은 고전적인 광소자뿐만 아니라 초유체 기반의 집적회로·양자 시뮬레이터와 같은 양자광소자에 응용할 수 있다.

KAIST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연구팀 [사진=카이스트]

빛이 반도체 내부의 엑시톤과 오랜 시간 머물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이 성립되면 서로가 강하게 상호작용하며 빛과 물질이 지닌 장점을 동시에 갖는 제3의 양자 입자인 엑시톤·폴라리톤이 생성된다.

기존 연구에 많이 사용되던 비소화물 기반 반도체의 경우 열에너지에 의해 엑시톤이 해리되기 때문에 극저온의 실험환경이 필수적인 요소였다.

반면 질화물 기반 반도체의 경우 상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엑시톤을 형성할 수는 있지만 거울 구조를 만드는 공정과정이 복잡하고 물리적 요인들로 인해 공간적으로 균일한 거울 구조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불균일한 거울 구조는 엑시톤·폴라리톤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중요한 원인이다.

연구팀은 거울 구조 대신 질화물 반도체 기반의 3차원 구조인 육각형 마이크로 막대 구조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 구조를 이용하면 거울 없이도 내부 전반사의 원리를 통해 균일하면서도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빛의 모드와 엑시톤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상온에서도 엑시톤·폴라리톤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엑시톤·폴라리톤은 빛으로부터 얻은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질량이 전자보다 10만배, 원자보다 10억배 가볍다. 기존 원자를 이용하면 절대영도(영하 273도) 근처에서 에너지가 낮은 하나의 바닥 상태를 모든 입자가 공유해서 마치 하나의 입자처럼 행동하는'보즈·아인슈타인 응축 현상'이 관측된다.

연구팀은 질화물 반도체에서 엑시톤·폴라리톤 입자를 형성시켜 이러한 응축 현상이 상온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또 엑시톤으로부터 얻은 고유 특성으로 기존의 빛과는 다르게 엑시톤·폴라리톤 입자 간의 밀어내는 힘인 척력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고해상도 레이저 광학 시스템을 이용해 엑시톤·폴라리톤의 포텐셜 에너지와 이의 경사도를 조절해서 엑시톤·폴라리톤 응축 현상의 운동량을 제어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고효율의 비선형 광소자부터 양자 광소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조 교수는 "상온 엑시톤·폴라리톤 플랫폼으로서 복잡한 저온 장치 없이 이와 관련된 기초연구의 문턱을 낮출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상온에서 작동이 가능한 다양한 양자 광소자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gyun50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