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시한 '연말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전문가들은 연내 북미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대해 엇갈린 전망을 내놨다.
6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은 "비핵화 합의에 대한 북미 간 간극이 상당하다"며 "올해 안에 북미정상회담에만 관심이 있는 듯한 북한과 큰 변화를 이뤄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북한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보에 나설 수 있는 유일한 협상 상대로 보고 추가 정상회담을 원한다"며 "하지만 이는 미국의 현 입장과 극명히 다르기 때문에 양국이 앞으로 나아가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연말까지 북한이 실질적 비핵화 조치에 나설 가능성도, 미국이 대북제재를 완화할 가능성도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세이모어 조정관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 '유예'를 큰 성과로 보고 현 상황에서는 추가 진전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탄핵 국면에서 벗어나려면 대(對) 북한·시리아 외교정책에서 보수적인 공화당의 지지를 받아야한다며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유연성을 발휘하는데도 제약이 있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반면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기획실장은 생각이 달랐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오히려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려 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리츠 전 실장은 "미국 내 정치적 상황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북한과의 정상회담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국내 문제를 겪거나 지지율이 크게 떨어진 미 대통령은 화제를 바꾸기 위해 외교정책으로 관심을 돌리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리츠 전 실장은 다만 "그럴 경우 미국은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북한과의 조건을 제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 때문에 한반도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4일 국가정보원은 김 위원장이 12월 중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개최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북한이 이달 또는 늦어도 다음 달 초에는 북미실무협상에 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세이모어 조정관은 "북미 간 긍정적 분위기를 만들려는 한국 정부의 희망 섞인 바람"이라면서도 "한국 정부가 미국뿐 아니라 북한과도 정례적 연락이 오가는 만큼, 실무 협상과 정상회담이 조만간 열릴 수 있다는 정보를 얻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