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백진엽 기자 = 대우그룹을 창업해 한국 경제에 큰 획을 그었던 김우중 전 회장이 지난 9일 향년 83세의 나이로 영면에 들었다. 김 전 회장은 대우를 만들고 그룹이 해체될 때까지 자리를 지켰던, 다시 말해 대우는 김 전 회장의 모든 것이었다.
영업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김 전 회장이 3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세운 대우는 한때 자산 규모 재계 2위라는 놀라운 성장을 보였다. 하지만 대우가 우리 경제에 더 중요한 이유는 한국의 수출 산업의 선도자이자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는 점이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김학선 기자 |
1960년 섬유수출업체인 한성실업에 영업사원으로 입사한 김 전 회장은 1967년 31세의 나이에 자본금 500만원으로 서울 충무로에 작은 수출업체인 '대우실업'을 창업했다. 단순한 중소기업으로 시작했던 대우실업은 1970년대 경제성장과 중동 붐, 수출 호조에 따라 급격하게 사세를 확장했다. 한국 기업 최초로 해외 지사(호주 시드니)를 설립하는 등 초창기부터 김 전 회장과 대우는 세계를 무대로 활동했다. 1972년에는 국내기업 수출 5위를 기록하는 등 거칠 것이 없었다.
이후 대우건설(1973년)과 대우전자(1974년), 한국기계(1976년), 대우조선·대우자동차(1978년) 등을 설립하거나 인수해 정상화시켜 그룹으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대우그룹은 창업한지 10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은 1970년대 후반 현대그룹과 삼성그룹, LG그룹에 이어 재계 4위까지 올랐다.
1980년대는 대우그룹과 한국 경제의 세계속 위상이 더 높아진 시기다. 대우는 1982년 모기업인 ㈜대우를 세우면서 그룹사의 외형을 갖췄다. 이후 동양증권과 삼보증권을 인수해 대우증권을 설립, 금융업까지 사세를 확장시켰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의 성공으로 한국 경제는 더욱 자신감이 붙었고, 대우그룹 역시 세계 곳곳으로 사세를 넓혀갔다.
1990년대에는 김 전 회장은 대우그룹의 사업과 경영이념을 '세계경영'이라는 모토로 체계화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북방외교 기조에 따라 폴란드·헝가리·루마니아·우즈베키스탄 등 민주화 바람이 불던 동유럽과 구소련 같은 사회주의권 국가에 중공업·자동차 사업을 통해 대대적으로 진출했다.
1998년 대우의 해외 네트워크는 현지법인만 396개 등 총 589여곳이었다. 당시 해외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종업원만 21만9000명인 것만 봐도 대우그룹의 글로벌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1998년 말 대우는 자산 기준으로 삼성과 LG를 제치고 현대에 이어 2위까지 올라섰다.
하지만 대우의 공격적인 확장, 특히 해외 중심의 경영은 외환위기 상황에서 오히려 독이 됐다. 결정타는 1999년 쌍용자동차 인수였다. 외환위기 전까지는 부채로 외형을 키우면서 사세를 확장했던 전략이 먹혔다. 하지만 외환위기로 인해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그룹 전체가 흔들렸고, 결국 김 전 부회장은 대우그룹 해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없었다.
그룹 해체 이후 일부 계열사들은 다른 기업으로 피인수돼 명맥을 잇고 있다. 지주사 역할을 했던 ㈜대우는 포스코에 인수돼 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로 사명을 변경했다. 대우자동차는 GM에 팔렸고, 현재 GM코리아로 운영되고 있다. 둘 모두 한참동안 포스코대우, GM대우 등 대우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최근 몇년새 대우라는 이름을 지웠다.
이 밖에도 대우종합기계는 두산그룹의 두산인프라코어로, 대우조선공업은 대우조선해양으로 지속 중이다. 대우전자는 지금의 위니아대우, 대우중공업은 현대로템으로 각각 이어졌다. 대우증권은 미래에셋에 합병돼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이 변경됐다.
jinebi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