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은행들, 홍콩 3분기 투자액 '10%' ↑..."금융허브 사수해야"

기사등록 : 2019-12-10 11:2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산업·국민·우리·신한·하나銀 익스포저 3분기 4조8417억
1분기보다 10% 늘려, 홍콩 시위 극심하던 3분기도 정상가동
CEO들 신념 "금융허브 지켜야"...태국 철수 고생도 반면교사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우리나라 은행들이 '홍콩'의 정세 불안에도 현지 대출 및 투자 등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CEO(최고경영자)들이 금융허브를 포기해선 안 된다는 전략을 고수하며 현지 영업망을 지원사격한 힘이 컸다. 또한 과거 IMF 외환위기시 태국서 철수한 탓에 현지에 대한 재진출이 어려워진 경험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홍콩 시위가 한창이던 3분기(6~9월) 현지 영업중인 산업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신한은행 등 5개 은행의 익스포저는 4조8417억원(9월말 기준)으로, 1분기(3월말) 4조3896억원보다 10%(4521억원) 증가했다. 익스포저는 대출 및 투자 등 금융자산으로 보면 된다.

익스포저 가운데 위기 시 부실화될 수 가능성이 높은 위험가중자산은 3월말 3조5210억원에서 9월말 4조208억원으로 14%(4998억원)나 늘어났다. 위험가중자산은 대출금, 미수금, 가지급금, 유가증권, 예치금 등 자산 유형별로 위험 정도를 감안한 자산이다. 

5개 은행 모두 익스포저가 늘었다. 3월말과 9월말을 비교하면 산업은행 2조6647억원→2조6838억원, 우리은행 7736억원→8523억원, KEB하나은행 4140억원→6046억원, 신한은행 4287억원→5603억원, KB국민은행 1122억원→1407억원이다.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19.12.10 hkj77@hanmail.net

3분기는 홍콩 시위가 격렬해지며 정세가 매우 불안하던 시기다. 6월9일 빅토리아 공원에서 시민 103만명이 모여 "범죄인 인도 법안 철폐"를 요구하면 시위를 시작해, 경찰의 시위대에 대한 실탄 사용과 대대적 검거작전이 진행됐다. 이 시기에 우리나라 금융당국이 홍콩 시위 리스크 점검을 위한 금융상황 점검회의도 열었다.

우리나라 은행들이 정상적으로 현지 영업을 한 주된 이유는 중국의 무력진압이라는 '레드라인'을 넘지 않아서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평소 외화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대비해 내·외부 지표에 임계치를 설정하고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홍콩 시위는 임계치를 넘어서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특히 우리 금융산업에서 홍콩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커서 사실 포기하기도 어렵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이 홍콩에 설립한 점포의 총 자산은 154억2000만달러(비중 13.5%)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특히 순이익의 경우 1억7460만달러(비중 17.7%)로 진출한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또한 현지 대출 영업은 하지 않아도 주로 금융 주선, 투자금융 자문 등 IB(투자은행) 업무 등 국내시장에서는 하지 못하는 기능을 한다. 

무엇보다 CEO들이 '태국 실패'에서 얻은 경험으로 '금융허브 홍콩 사수'라는 신념을 보여준 것이 배경이라는 분석도 있다. 젊은 행원이던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우리나라 은행들은 태국 정부의 만류에도 태국시장에서 전면 철수했다. 이후 20년 넘게 태국의 문을 두드렸지만 은행 지점이나 법인 인가를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 일종의 '괘씸죄'에 걸린 것이다. 

한 금융그룹 회장은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 때 태국 금융당국 관료들을 만나 점포 개설을 도와주겠다고 하면서도 뒷말이 과거 한국 금융사의 철수 이야기를 다시 꺼내며, 서운한 기색을 보이더라"면서 "당시 관료들은 은퇴하고 새로운 관료들인데도 앙금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hkj7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