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의 화장품 시장이 온라인 유통 채널 확산과 소비 고급화 추세에 약 80조 원(약 4562억 위안)규모의 업종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미디어(iimedia)에 따르면, 중국 화장품 시장은 2012년 이후 연 평균 8% 성장하고 있다. 올해 4262억 위안에 달했던 시장은 오는 2020년이면 4562억 위안(약 77조 5540억원)까지 확대할 것으로 추산됐다.
광다(光大) 증권은 중국의 1인당 화장품 소비가 38달러(약 4만 원) 정도로, 선진국(240달러)의 7분의 1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중국인들의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 고급화 추세로 화장품 시장이 막대한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했다.
◆온라인 화장품 주력 유통채널로 부상, SNS 영향력 막강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선 전자상거래 플랫폼, SNS, 동영상 플랫폼 등 각종 온라인 채널을 통한 화장품 판매가 급격히 팽창하고 있다. 아이미디어는 온라인 화장품 유통 시장 규모는 오는 2024년이면 3506억 5000만 위안(59조 원) 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온라인 플랫폼은 향후 5년간 전체 화장품 판매의 80%를 차지하는 주력 채널로 자리 잡는 동시에 화장품 유통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중 연간 50%에 달하는 성장세를 보이는 SNS 기반 쇼핑몰이 온라인 유통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과반수가 넘는 소비자(61%)들이 SNS에서 '추천'된 화장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이중 20대들의 SNS 추천에 따른 구매 의사 비중은 76.6%에 달한다.
특히 위챗(微信)과 샤오훙수(小紅書) 양대 모바일 플랫폼이 화장품 유통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미디어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모바일 채널로 위챗(22.91%)과 샤오훙수(20.73%)를 꼽힌 가운데, 웨이보와 더우인의 영향력도 그 다음 순으로 조사됐다. 예컨대 지난 2018년 기준 위챗 미니앱(샤오청쉬·小程序) 기반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자 규모만 1억 3200만 명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특히 대도시 거주민들이 화장품 온라인 구매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온라인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의 대다수가 1선 도시(38.8%), 2선 도시(30.6%) 주민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과반수(50.5%)에 달하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채널을 통해 연간 3~5회 화장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연간 1~2회 구매(22.9%), 분기별 1회(13.8%)가 그 다음 순으로 조사됐다.
해외 직구 플랫폼을 통한 화장품 구매도 늘어나고 있다. 아이미디어에 따르면, 절반에 달하는 해외 직구 이용자가 화장품 및 바디용품 구매에 월평균 1000위안 이상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뷰티왕훙' 등 인플루언서(Influencer)들이 진행하는 각종 라이브 스트리밍(실시간 온라인 방송), 숏클립 형식의 온라인 채널을 통한 화장품 유통도 확산되는 추세다. 왕징서전자상거래연구센터(網經社電子商務研究中心)는 올해 광군제(光棍節) 기간 동안 왕훙들의 활약으로 인한 상품 판매 규모가 500억 위안에 달했다고 추산했다.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에선 미국과 유럽 브랜드가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에스티로더는 마스크 팩, 아이크림 제품 분야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로 꼽혔다. 디올은 여성용 향수와 립스틱에서 최고의 브랜드로 조사됐다.
사용 빈도 면에서도 유럽 및 미국 업체의 경쟁력은 확인됐다. 아이미디어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의 과반수가 넘는 비중(56.5%)이 유럽 및 미국 화장품 제품을 가장 자주 사용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중국, 일본, 한국 브랜드 순으로 사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 수입 화장품 규모 면에선 일본이 한국을 제치고 선두를 차지했다. 중국해관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일본의 화장품 대중국 수출 규모는 118억 위안을 기록,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한국과 프랑스의 수출액은 각각 107억 위안, 103억 위안에 달했다.
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