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바둑판의 풍운아' 이세돌 9단이 현역에서 물러납니다. 상대의 의표를 찔러 난전을 즐겼던 승부사. 평범을 거부했기에 인공지능(AI)을 극복한 세계 유일의 기사. 은퇴 이벤트도 이목을 집중시킵니다. AI와 의 재대결. 구글 '알파고'와 대결후 3년9개월만입니다. 국내 기술진이 만든 '한돌'과 세 판을 둡니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이 '세돌과 한돌의 대결'을 두 가지 측면에서 조명합니다. 인간과 AI의 두뇌싸움이란 측면과 알파고(구글)와 한돌(NHN)의 AI기술 대결입니다.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이세돌 9단이 예상을 뒤집고 1국에서 승리했다. NHN 한돌은 바둑돌을 잡은 지 3년이 채 안됐지만, 대한민국 랭킹 5위에 든 프로기사를 모조리 꺾은 실력이라 이변으로 평가된다.
이세돌 9단은 18일 서울 강남 양재 바디프렌드 본사에서 열린 NHN 한돌과의 대국에서 92수끝에 '불계승'을 거뒀다. 한돌이 더 이상 바둑을 두는게 없다고 판단해 바둑돌을 던진 것.
뉴스핌은 이날 윤완철 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와 인터뷰를 통해 인공지능(AI)이 인간 두뇌를 넘어섰다는 세간의 평에 대해 학계 입장을 들어봤다. 윤 교수는 자타공인 대한민국 인지과학 최고 전문가다.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이세돌 9단이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바디프렌드 도곡타워에서 열린 '브레인마사지배 이세돌VS한돌 - Goodbye 이세돌'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2019.12.18 kilroy023@newspim.com |
◆ "일부 기능 측면에서 인간을 넘어선 것 뿐"
인공지능이 인간 두뇌를 정복했다는 판단에 대해 윤완철 교수는 경계했다.
윤 교수는 "알파고나 딥러닝에 의해 센셔이널한 기사들이 많고, 일반인 입장에선 신비롭게 여겨지게 마련"이라며 "하지만 실제 인공지능이 인간 두뇌 지능을 이해하고, 넘어선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두뇌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 하는 것과 인공지능이 두뇌 기능을 앞지른 것과는 구분해야 된다"면서 "두뇌는 곧 인간의 핵심으로 자체를 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몇 가지 기능에서 전자 두뇌가 성능 면에서 앞지른다고 해서, 두뇌의 신비를 알게 된 건 아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과학 분야에서 무엇을 정복한다든가 하는 표현은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며 "우주와 마찬가지로 두뇌는 중요하지만 상당히 미흡한 분야다. 즉 과학자들이 아직 잘 모르는 분야"라고 부연했다.
앞으로 기능적인 측면에선 인공지능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넘어설 것으로 봤다.
윤 교수는 "인공지능은 주어진 영역에서, 주어진 과제를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찾는다"면서 "그 방법론 가운데 하나가 알파고로 응집 돼, 인공지능이 인간 기사를 이기는 성능을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다른 일에서도 계속 인간보다 기계로 하는 것이 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 일들이 많이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 '지능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초입일 뿐
한돌과 이세돌 승부에 대해 승패를 벗어난 시각에서 봐달라고 윤 교수는 주문했다.
그는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연산을 해서 최적점을 찾는 일을 기사와 한돌 중 누가 더 잘하는지를 겨루는 상황"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인공지능이 사용하는 작업기억 용량은 인간과 차이가 크다"며 "하지만 인간 바둑기사는 의식적으로 1초에 몇 번 밖에 못하는 연산속도로 수억번 연산을 하는 인공지능과 맞설 수 있다"고 비교했다.
이어 "어찌보면 이제 인공지능이 바둑에선 사람을 이겼으나 '지능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은 아직도 더듬어가는 초입일 뿐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swiss2pa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