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지난해 항공여객 1억2337만명 역대 최대...올해 우한폐렴 변수

기사등록 : 2020-01-29 14:4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일본불매운동·홍콩시위 여파에도 중국 등 아시아 여행 수요 증가
중국 노선 여객 총 1843만명...전년 대비 14.4% 증가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일본불매운동과 홍콩시위 여파에도 지난해 항공여객 수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일본불매운동과 홍콩시위에도 불구하고 중국 등 아시아 여행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올해는 우한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 중국 여행객 감소를 불러일으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항공여객이 전년(1억1753만명) 대비 5% 증가한 1억2337만명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주요 항공사들 [사진=뉴스핌 DB] 2019.12.19 tack@newspim.com

국제선 여객은 전년(8593만명) 대비 5.2% 증가한 9039만명을 기록했다. 일본 및 홍콩 노선의 여객이 감소했지만 중국·아시아 등 노선 다변화 및 내·외국인 여행 수요가 증가한 덕분이다.

지역별로는 일본(-11.6%)을 제외한 중국(14.4%), 아시아(11.6%), 유럽(9.4%) 노선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일본 노선은 지난해 7월 수출규제 조치 영향으로 8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했다.

반면 중국 노선 여객은 총 1843만명으로, 전년(1611만명) 대비 14.4% 증가했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전인 2016년(1986만명)에 비해서는 7.2%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해 11~12월에는 2016년과 비교해 11%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노선은 홍콩 시위 여파로 여객이 10.4% 감소했고, 8월 이후 하락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항별로는 중국 및 아시아 노선의 여객 증가에 따라 인천(4.3%)·제주(40.7%)·무안(110.2%)·청주(55.9%) 공항 등이 성장세를 나타냈다. 반면 일본 노선 여객 감소 영향으로 김해(-2.7%)·김포(-0.4%)·양양(-14%) 공항은 하락세를 보였다.

항공사별로는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가 전년 대비 각각 0.2%, 6.3% 증가했다.

국내선 여객은 제주 및 내륙노선 여객 증가로 전년(3160만명) 대비 4.4% 증가한 3298만명을 기록했다.

공항별로는 제주노선의 여객이 증가된 청주(17.7%), 여수(8.3%)공항의 실적증가가 두드러졌고, 김포(4.3%), 제주(4.1%)공항도 전년 대비 실적이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1391만명으로 전년 대비 6.3% 늘었고, 저비용항공사도 1907만명으로 3% 증가했다.

반면 항공화물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교역량 감소 영향으로 IT 제품(반도체·무선통신기기·디스플레이 등) 등 국제화물이 3.7% 감소했다. 전체적으로는 전년(444만t) 대비 3.8%가 감소한 427만t을 기록했다.

국제화물도 아시아(1.1%)를 제외한 중국(-1%), 일본(-17.3%), 미주(-5.5%) 등 전 지역에서 감소세를 나타내며 전년(417만t) 대비 3.7% 감소한 402만t에 그쳤다.

국내화물 역시 내륙 노선(-0.9%)과 제주(-5.8%) 노선 모두 감소해 전년(27만3000t) 대비 5.3% 하락한 26만 톤을 기록했다

김이탁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일본・홍콩 노선 부진에도 중국·아시아 등 항공노선 다변화, 내・외국인의 항공여행 수요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대내외 변수가 항공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 및 업계와 긴밀히 협업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iamky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