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올해말부터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운영프로그램이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우에서 개방형 운영체제(OS)로 교체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2월 개방형 OS 도입전략 수립을 시작으로 10월부터는 행안부의 일부 인터넷PC에 개방형OS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개방형OS는 특정기업에 종속된 MS윈도우와 달리 소스프로그램이 공개돼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구름 OS, 하모니카 OS, 티맥스 OS 등이 대표적이다.
개방형 OS는 하반기부터 시작될 예정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도입된다.
민간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PC 환경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형태로 PC를 책상 위에 두지 않고, 필요할 때만 데이터센터에 접속해 원격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개방형 OS는 가상 PC의 운영프로그램으로 도입된다.
개방형 OS가 도입되면 중앙부처 공무원 1인이 사용하는 물리적인 PC가 2대에서 1대로 줄어들어 관련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는 보안을 위해 공무원 1인이 행정업무용 PC와 인터넷용 PC 등 2대를 사용중이다.
행안부는 서비스의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을 위해 새롭게 관련 보안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관련 기업에 기존 프로그램의 호환성 확보를 위한 예산과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를 시작으로 행정기관에 단계적으로 개방형OS를 확산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연한이 끝나는 2026년부터는 대부분의 공무원이 개방형OS를 사용하게 될 전망이다.
개방형OS 이용으로 연간 약 7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과 함께 외국계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PC 운영프로그램(OS) 시장에 국내 기업 진출이 쉬워질 것으로 전망이다.
최장혁 전자정부국장은 "개방형OS 도입을 통해 특정 업체의 종속을 해소하고 예산도 절감하겠다"며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확대와 새로운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