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 주요국 중 미국경제에 가장 치명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두 번째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8일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사태가 장기화돼 각국의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미국, 한국, 일본, 독일, 대만, 베트남, 인도 순으로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자료=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이 같은 분석은 중국의 중간재 수출에서 주요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한 것이다. 2017년 기준 중국의 중간재 공급 국가 중 미국은 전체의 약 10.7%를 공급받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한국(6.5%), 일본(5.5%), 독일(3.3%), 대만(2.7%), 베트남(2.6%), 인도(2.1%) 순이었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전자부품 중간재는 미국(14.1%), 한국(8.5%), 일본(6.7%), 대만(4.8%) 순이었으며 기계는 미국(18.3%), 일본(6.2%), 한국(4.5%), 독일(4.4%) 순이었다. 1차금속의 경우 한국이 10.9%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미국(9.2%), 일본(8%), 태국(5.8%) 등이었다.
KIEP는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중국진출 기업 및 국내 수입기업이 1차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동남아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대(對)중국 공급망이 위축되거나 단절될 경우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생산과 수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사업지속계획(BCP)을 수립하고 국내 및 현지 진출 기업의 BCP 구축을 지원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의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세계경제의 분업 구조에 변화가 진행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KIEP는 "중국산을 사용하는 기업들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자국 및 중국 이외의 국가로 공급망을 전환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미국과 중국 경제의 분리를 촉진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한국은)기업·거점별 맞춤 BCP를 설정해 대체 가능한 부품의 글로벌 공급망관리를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KIEP는 코로나19가 2003년에 유행한 사스보다 세계경제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사스 당시 중국이 세계경제와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3%, 4.6%였으나 2018년 기준으로는 15.8%, 10.6%로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KIEP는 "각국의 성장 둔화가 나타날 경우 한국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경기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중소기업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