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소영 기자=지난 1월 23일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 우한(武漢)이 봉쇄된 지 약 한 달이 넘었다. 이 기간 중국 경제·산업이 사실상 '정지'됐다. 춘제 연휴 기간까지 포함하면 두 달 이상 경제가 멈춰있는 상태다. 최근 중국의 코로나19 사태는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지만 '경제 위기'라는 '후폭풍'의 먹구름이 중국을 감싸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의 '시한폭탄'으로 불리던 부채 리스크가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더욱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높아지는 위기의식에도 중국 채권과 주식에 글로벌 자금이 몰려드는 등 중국 디폴트 위기에 대한 산업계와 금융시장의 온도차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 초대형 기업도 자금난...헝다그룹 아파트 할인 판매
아파트와 빌딩의 할인 판매 방침을 알리는 헝다그룹의 공고 |
코로나19 사태가 절정에 달했던 2월 중순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사 헝다그룹(恆大集團)이 보유한 전국의 아파트와 빌딩의 대대적인 할인 판매에 돌입했다. 헝다그룹은 2월 18일부터 29일까지 전국 부동산을 기본 25% 최대 38%를 할인해 판매한다고 발표해 화제가 됐다.
헝다그룹은 그간 '콧대 높은' 마케팅으로 유명했던 기업이다. 헝다그룹이 파격적 할인 판매에 돌입하자 시장이 크게 술렁였다. 일각에서는 헝다그룹의 이번 할인 판매가 분양가격을 일부러 높게 책정한 후 할인 판매하는 얄팍한 상술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헝다그룹이 전국적 물건을 대상으로 큰 폭의 할인 판매에 돌입한 것은 급박한 자금난을 시사한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헝다그룹이 사용권을 확보한 토지는 단일 부동산 개발 기업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2019년 기준 이 기업이 비축한 토지 면적은 3억9100만㎡에 달한다. 막대한 토지 보유량과 함께 헝다그룹의 부채 규모도 천문학적 수준이다. 아직 만기가 도래하지 않은 헝다 발행 채권 규모는 212억 달러에 달한다.
여기에 은행으로부터 차입한 달러와 홍콩달러 부채를 더하면 헝다그룹의 대출금은 2065억 위안(약 36조원)에 달한다. 중국 국내 은행에서 빌린 위안화 부채를 더하면 총 부채 규모가 8130억 위안으로 치솟는다.
헝다그룹의 최근 영업매출은 이 기업이 직면한 재무 부담이 얼마나 큰 지를 보여준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2018년 헝다그룹이 부동산 판매로 얻은 수입은 5513억 위안이다. 헝다그룹이 상환해야 할 단기 차입금은 3758억 위안으로 2018년 한 해 거둔 매출의 70% 이상을 대출 상환에 사용해야 할 상황이다.
재정 압박이 가중되고 있지만 헝다그룹이 정상적인 경로로 조달할 수 있는 자금은 이미 없는 상태다. 헝다 측은 신탁 융자를 통해 자금을 최대한 끌어모은 상황이다.
헝다그룹은 춘제 전 홍콩에서 6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2년·3년 만기 선순위 채권(senior debt)으로 금리는 11.5~12%에 달했다. 단기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높은 이자를 지불하고 엄청난 빚을 끌어모았다는 의미다.
중국 기업의 디폴트 위기는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2019년 말에는 베이징대학 산하 과학기술 기업인 베이다팡정그룹(北方正大)이 디폴트를 선언해 시장의 위기감이 고조됐다. 베이다팡정은 베이징대가 설립한 성공적인 창업 모델이자, 중국 교육부 산하 최대 자산 규모를 자랑하는 국유기업이어서 시장의 충격이 컸다.
이 밖에 중국 국유 대규모 종합상사인 톈진물산(天津物產)도 지난해 연말 디폴트를 내면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게 됐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충격이 불가피 한 상황이어서 중국 기업의 부채 위기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중국 정부가 '질서정연한 도산'으로 부실기업을 자연 도태 시킨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전염병 사태로 경기 냉각 속도가 빨라지면 정부가 제어할 수 없는 연쇄 부도 사태가 생겨날 수 있다고 경제학자들은 경고하고 있다.
중국 기업이 올해와 내년에 만기를 맞는 달러 채권 규모가 2000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막대한 부채에 허덕이는 지방정부의 채권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2019년 중국 부동산 개발사가 해외에서 발행한 채권 규모가 69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18년 대비 41%가 늘어난 규모다. 더욱 놀라운 것은 올해 1월 중국 부동산 기업의 해외 채권 발생 규모의 폭발적 증가다 2020년 1월 발행규모는 2019년 1월 111억 달러보다 50%가 늘어난 160억 달러에 달했다. 더욱이 만기가 3년 이내로 단기 채권에 집중돼있어 향후 상환 압박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 디폴트 리스크에도 뜨거운 금융시장...극명한 온도차
[서울=뉴스핌] 강소영 기자= 2020.03.09 jsy@newspim.com |
경제성장률 둔화에 설상가상으로 덮친 전염병 사태로 중국 경제 위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지만, 금융 시장에서는 '중국 위기론'에 대한 경계심을 찾기 힘들다. 일례로, 엄청난 부채로 우려를 사고 있는 헝다그룹의 주식과 채권 모두 투자자들에게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홍콩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헝다그룹 주식의 주가는 2월 이후 7%가 올랐고, 2022년 만기 예정인 헝다 회사채는 지난해 연말 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와 채권 가격의 동반 상승으로 헝다그룹은 디폴트의 우려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헝다그룹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코로나19라는 역대급 '블랙스완'의 습격에도 중국 증시는 비교적 안정적인 시황을 유지하고 있다. 대내외 악재가 집중될 때 다소 큰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최근 국내외 자금이 A주로 몰리는 현상이 뚜렷하다. 2월 폭락한 미국 증시와 비교하면 매우 양호한 상황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코로나19로 이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엄청난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고, 이러한 통화정책 기조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 부도 사태가 경제 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아...'질서정연한 부도'는 필연적
그러나 중국 경제의 '고질병'이자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지방정부 부채 위험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칭하이성(青海) 정부 산하 국유기업 칭하이성투자그룹(青海省投資集團)은 올해 1월 만기가 도래한 960만 달러 규모 채권 상환에 실패했다. 2020년 첫 번째 지방정부 기업 디폴트 사례다. 이 기업은 지난해에도 여러 차례 이자 지급에 실패한 바 있다. 추가 자금 조달도 힘든 데다 중앙 정부도 자금 지원에 나서지 않고 있어 최종 부도가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진다.
칭하이성투자그룹은 이 지역의 전력, 석탄, 부동산 개발 및 금융사업을 겸하는 종합 대기업이어서 최종 부도가 날 경우 지역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전망이다.
문제는 칭하이성 뿐만 아니라 톈진시, 후허아오터시 등 중국 다수의 지방정부들이 비슷한 위기를 겪고 있다는 점이다. 만약 중국 지방정부 국유기업들이 연이어 도산할 경우 중국 경제가 입는 타격도 적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방 국유기업의 줄도산이 중국 경제와 금융 시스템의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2014년 이래 기업 디폴트 규모가 놀라울 정도로 급증하고 있지만, 전체 채권 시장 규모와 비교하면 여전히 미미한 수치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시스템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대규모 디폴트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중국 부채 리스크에 대해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다만 중국 정부도 기업 건전성 구축을 위해 '질서정연한 도산'을 용인한 만큼 향후 기업 디폴트 사례가 늘어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