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中 한숨 돌리니 美·유럽서 코로나 팬데믹…전자업계 최대시장 닫힐까 '전전긍긍'

기사등록 : 2020-03-12 06:0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생산 차질보다 소비 및 경기 위축 등 타격 우려

[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미국과 유럽에서 코로나19가 겉잡을 수 없이 퍼져나가면서 전자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이 다소 진정되며 생산 차질 걱정은 덜었지만 이내 거대 소비시장인 미국과 유럽의 문이 닫힐 위기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소비시장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 미국·유럽 코로나 확산 일로…최대 소비시장 타격 위기

생산 거점인 중국에서 코로나19 기세가 꺾이면서 한숨 돌리는 듯했던 전자업계로서는 미국과 유럽에서의 바이러스 창궐로 인해 수요 침체라는 또 하나의 산을 마주하게 됐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아직 미국 통계를 확인하진 못 했는데 아무래도 소비 쪽에서 걱정이 커졌다고 봐야 할 것"이라며 "세계 경제가 올 상반기까지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11일(현지 시각) 기준 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31명에 달한다. 유럽 상황도 심각하다. 이탈리아가 어느덧 확진자 1만 명, 사망자 600여 명에 이르렀다. 독일과 프랑스, 스페인도 확진자가 각각 1000명을 훌쩍 넘었다. 그 외 영국과 벨기에, 스웨덴, 네덜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등에서도 각각 수백 명의 확진자가 생겨나고 있다. 결국 세계보건기구(WHO)는 '팬데믹(Pandemic, 감염병 대유행 현상)'을 선언했다.

삼성전자 측은 "그동안은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확진자가 많이 나오다 보니 생산 측면에서 걱정이 컸던 것이고 이제 미국이든 유럽이든 전 세계로 확산돼서 팬데믹(Pandemic, 감염병 대유행 현상) 수준으로 간다면 그땐 생산 차질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인 소비 심리나 경기 위축의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입장에서 북미지역은 단일시장으로서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삼성전자의 매출 비중을 보면 미주가 28.4%, 유럽이 11.7%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매출 비중은 24.1%다.

LG전자는 미국과 유럽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 같은 시기 LG전자는 전체 매출에서 북미가 23.3%, 유럽이 13.5%를 차지하고 중국은 3.8% 비중에 그친다.

LG전자 측은 "업종별로 구분해 봐야 하겠지만 전반적으로 소비가 전년보다 줄긴 할 것 같다"면서 "경기 위축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고가의 내구재를 교체하는 데 있어 저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중국, 코로나 진정 국면…생산 차질 걱정 덜어

반면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는 중국 사정은 많이 나아졌다. 중국에서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는 기미를 보임에 따라 적어도 공급 측면에서의 걱정은 많이 덜었다는 의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공급 경로에서 중국에서의 생산 차질이 글로벌 밸류 체인(GVC)를 통해 한국 내 주력 산업의 중국산 부품 조달에 문제가 생기면서 한국 내 생산 차질에 따른 대(對) 세계 수출 물량 생산이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중국에선 시진핑 국가주석이 직접 우한을 찾아 방역에 성공했다며 자축하는 등 코로나19 사태 종식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중국의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6일 99명으로 하루 100명 미만으로 떨어진 이후 9일에는 19명까지 줄면서 확연한 감소세를 띠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 전체 확진자는 8만754명, 사망자는 3136명이다.

앞서 지난 1월 말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면서 중국 내 많은 공장들이 멈춰섰다. 수많은 협력사들의 가동 중단은 부품 조달 등에서 어려움을 불러왔고, 중국 진출 국내 기업들은 재고를 소진하며 급한 불을 꺼야 했다. 이후 순차적으로 조업이 재개되면서 숨통이 틔긴 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와 춘절 이후 인력 미복귀 등의 문제로 중국 공장들의 가동률 정상화는 여전히 요원한 상황이었다.

그러던 것이 최근 중국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각 성(省)별 조업 재개율이 적게는 80%에서 많게는 90% 이상까지 도달했다.

전자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 공장 가동률이 거의 정상화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면서 "걱정했던 재고 소진 문제도 없다"고 말했다.

 

hoan@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