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기 기자 = 코로나19 (COVID-19)가 글로벌 증시를 흔들면서 금융시스템 동맥경화가 여기저기서 위험수준으로 올라가고 있다. 은행과 기업, 개인투자가 모두가 현금과 안전자산을 모으고 있다. 채권, 통화, 대출시장에서 2008년 이후 처음 보는 안전자산 도피가 쇄도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 글로벌 시장의 사정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 정도까지는 아니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가장 민감한 유동성 경색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자금 시장을 보면 그렇다는 것이다. 현금 그리고 언제든지 사고 팔수 있는 종류의 금융상품이 유동성 범주에 속한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CNBC등에 따르면, 최근 미국 국채 조차도 팔기가 쉽지 않은 이례적 현상이 발생했다. 최고의 안전자산인 미 국채인데도 말이다. 마찬가지로 최고의 유동성을 자랑하는 미 달러화도 조달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재고자산 등 단기자산과 직원들의 월급 지급 등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데 발생하는 기업의 조달비용도 급속도로 상승했다. 기업들은 만일을 위해 가용한도 최대까지 자금을 미리 인출하고 있다. 투기등급 채권매입에 대한 헤지 비용도 치솟았다. 은행간 하루짜리 대출도 금리가 올라가고 있다.
결국 위험신호를 알리는 붉은 깃발들이 글로벌경제와 시장 여기저기서 올라오고 있다고 금융권에서는 우려하고 있다.
은행, 기업과 소비자들이 패닉에 빠지고 이것이 자금수요의 악순환으로 이어지면 궁극적으로 깊은 침체가 오는 것이다.
◆ 2008년 금융위기 상황은 아니다
십년전 유럽의 국채위기를 관리했던 유럽중앙은행(ECB)의 프란세스코 파파디아는 "극도의 불확실성과 패닉으로 시장이 유동성을 잃어버리는 동맥경화 현상이 가장 두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이 얼어붙으면 시장은 기능을 상실해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트위터의 헤시태크 #GFC2가 많이 나도는 것 보면 두렵다는 것이다. GFC2는 두번째 글로벌 금융위기를 의미한다.
하지만 2008년이후 금융위기나 2011년이후 유로존 부채위기 때 정도의 위험 신호는 아직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위안을 찾을 수 있다.
파파디아는 "조만간 그렇게 될 수도 있다"면서도 "다행하게도 아직 그 지경은 아니다"고 가늠했다.
정책당국은 지금 금융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최근 그들은 대응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미 연방준비제도 등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인하하고 수조 달러의 유동성을 은행시스템에 추가로 공급하고 있다.
바클레이스 거시부문리서치 헤드 아제이 라자드하크샤는 "2008년 이후 중앙은행들이 배운 것은 자금조달 위기를 가장 먼저 해소해야 한다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유동성 위기를 최우선 막아야 한다는 것.
그렇다면 2008년 금융위기와 지금은 어떻게 다른가.
지금 시장의 패닉은 2008년 금융위기를 떠올려 중앙은행들로 하여금 경각심을 높였다. 그리고 지금의 은행시스템은 당시보다 훨씬 건강한 상태다.
월가의 법률회사 설리반앤크롬웰의 회장 로긴 코헨은 "금융위기 당시 은행들은 자기자본이 취약했고 유동성 대비도 지금과 비교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번 위기는 코로나19으로 인한 여행중단과 노동공급 경색, 가계 영업중단 등으로 실물경제 위기라는 측면이 또 다른 점이다.
JP모건은 미국이 코로나19의 영향권에 들어갔기 때문에 세계경제는 올 상반기 성장률은 급격히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위험 신호들, 금융위기때보다 낮은 수준
지난주 수요일과 목요일에 17조 달러 규모의 미 국채 시장에서 유동성 문제가 생기자 투자자와 당국은 경악했다.
국채와 회사채 수익률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꺼져버렸다. 보통 하루에 몇 bp(1bp=0.01%포인트) 움직여도 큰 폭이라는 채권 수익률이 주문을 낼 수 없는 지경이 됐다. 비드오퍼 스프레드가 급속도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그만큼 채권을 현금으로 바꾸기가 어려워진 것이다. ECB출신 파파디아는 "국채 시장에서 이런 조짐은 최악의 신호"라고 평가했다.
JP모건의 한 애널리스트는 미 국채시장의 유동성 경색이 너무 심해서 국채를 기준으로 하는 채권평가를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통화스왑 스프레드도 위험 신호로 통한다. 미국 달러와 교환하는 기타 통화가 지급하는 프리미엄이 유동성 위험을 잘 나타내기 때문이다.
3개월물 유로-달러 스왑과 달러-엔 스왑 스프레드는 2017년 이후 최대로 벌어졌다. 중앙은행들이 유동성을 주입한 후에야 진정되는 양상이었다.
은행시스템의 건전성에도 황색신호가 켜졌다. 은행간 자금거래의 가격꼬리표인 Libor-OIS 스프레드가 급등했다. 코로나19가 미국이나 유럽으로 번지기 전 지난 2월 21일 13bp이던 스프레드가 76bp가 된 것이다.
2008년에는 365bp까지 올랐다. 지금과 비교해 보면 현재 상황을 가늠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금시장이 삐걱거리자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들이 먼저 흔들렸다.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역사적 평균 4.1%인 저신용 기업의 부도율이 9.7%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08년 금융위기 때는 무려 13.4%였다.
선진국 중앙은행의 한 책임자는 "모든 지표들이 부정적으로 변해서 상황이 매우 나쁘다"면서도 "하지만 이것이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시스템 위기로 나아갈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CNBC는 전문가들은 지금 상황이 한동안 지속되겠지만 몇달 이내에 정상을 되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DBS의 로나 탄은 "유행병의 역사를 보면 시장은 언제나 되살아 났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미국과 중국의 경제지표들이 예외없이 악화되고 있지만 이것은 경제활동이 늦어지는 현상이지 어떤 궤도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은 아니라는 진단이다.
그리고 중국, 미국과 같이 세계 각국이 선제적인 대응책을 속속 내놓고 있다는 점에서도 탄은 자신의 긍정적인 평가의 근거를 찾았다.
[뉴욕 로이터=뉴스핌] 이영기 기자 =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장마감 종이 올리자 스크린에 마감 다우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2020.02.25 007@newspim.com |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