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은행간 통화스와프도 확대 필요...농협·국민·우리·신한은행 순서

기사등록 : 2020-03-20 14: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월말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 128.3%, 규제비율 넘어도
커미티드라인 확대 필요…은행별로 10억달러 수준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한국이 미국과 6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통화를 약정된 환율에 교환)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국내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여력이 더욱 증대됐다. 은행들은 이미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외화자산을 1개월간 유출되는 외화자산보다 30%가량 더 쌓아놓은 상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2월말 국내 은행들의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외화LCR)은 128.3%(잠정)로 작년 말 120.6%보다 7.7%포인트 올랐다. 외화LCR은 1개월간 빠져나갈 수 있는 외화자산 대비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고(高) 유동성 외화자산 비율로, 금융사의 외화건전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쓰인다. 감독당국의 규제수준이 80%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여력은 충분한 셈이다.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2020.03.20 milpark@newspim.com

특히 은행 대부분은 외화LCR을 100%대로 유지해오고 있다. 상위 5개 은행들의 외화LCR(지난해 9월 말 기준)을 보면 하나은행이 174.4%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 129.3%, KB국민은행 116.4%, 우리은행 108%, NH농협은행 101.9% 순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기마다 변동이 있을 순 있지만 대체로 국내 은행들은 외화LCR을 100% 이상으로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커미티드라인(Committed Line)'도 추가 장치도 마련해 외화유동성을 확보해뒀다. 커미티드라인은 일종의 '마이너스대출'로, 일정액의 이자를 외국은행에 주는 대신 유사 시 외화를 우선적으로 빌릴 수 있는 권리다. 은행별 커미티드라인 규모는 신한은행이 12억달러로 가장 많고, 우리은행 8억달러, KB국민은행 5억~8억달러, 농협은행 1억4000만달러 등의 순이다.

여기에다 전날 한국은행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600억달러 규모 양자간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한 점도 호재다. 통화스와프는 비상시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빌리는 계약이다. 한국은행은 "통화스와프를 통해 조달한 미 달러화를 곧바로 공급할 계획"이라며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계약기간은 6개월이며, 시장이 안정되지 않을시 연장된다.

아직 달러 공급 방식이나 금액 분배 등은 발표되지 않았다. 다만 국내 은행들로서는 자체적으로만 해결해야 됐던 외화자산 확보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2008년에는 미국 연준이 일주일 단위로 한국은행에 사전 협의한 일정 달러화를 공급하고, 한국은행은 입찰을 통해 금융기관에 달러화를 풀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금융위기 이후 외환건전성 규제를 강화해 현재 국내 은행들의 외화유동성은 3개월간 스트레스 상황이 오더라도 문제가 없을 정도"라며 "가보지 않은 길을 가고 있는 것은 맞지만, 지금 단계에서 과도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다. 유동성자산 비율을 관리해온 덕분에 현재 파이어세일(헐값매각)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고, 혹시 파이어세일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유동성 경색이 심화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은행의 유동성은 은행, 국가 전체의 신용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현재까지 특별한 변동이 없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금융, 외환은 신뢰가 중요해 신뢰가 무너지면 천하장사도 버티기 힘들다"며 "한미 통화스와프계약도 체결하면서 신뢰의 버팀목을 받쳐놨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milpar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