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ICT 4.0] 신성장 'AI', '데이터 부자' 네이버·카카오·SKT '독식'

기사등록 : 2020-05-07 06:1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네이버, AI 적용하자 뉴스소비율, 상품클릭횟수 '급증'
카카오, 테크핀·모빌리티·콘텐츠 독보적 경쟁력 확보

[서울=뉴스핌] 김지완 정윤영 기자 = 네이버·카카오·SKT 등 빅데이터를 손쉽게 축적 할 수 있는 ICT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의 과실을 독차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국내 AI 연구를 주도하며, 다양한 서비스에 차별화된 AI 서비스를 적용해 경영성과로 연결중이다.  

6일 네이버에 따르면, 선제적으로 국내외 인공지능 연구소 및 AI 관련 법인을 설립했으며 자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검색, 광고, 라인(LINE) 등에 적용했다. 구체적으로 네이버는 지난 2017년 인공지능 분야에 20년 이상 연구를 진행한 제록스리서치센터유럽을 인수했다. 지난 2018년에는 홍콩과학기술대학교와 '네이버-라인-홍콩 과기대'와 AI 연구소를 개소했다. 라인은 지난 2016년 라인데이터랩스를 설립했고, 내년까지 AI인재 200명 규모로 확대할 계획을 세웠다.

카카오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설립해 지난해 자회사로 분사했고, 지난 2017년 카카오브레인을 설립했다. 카카오브레인 설립 초기 김범수 의장이 카카오브레인 대표이사를 직접 맡으며, 인공지능 중심 성장 의지를 대외적으로 표명했다.

SK텔레콤(SKT)은 SK그룹 내 인공지능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통신사업자에서 인공지능 기업으로 변화하기 위해서 투자를 강화중이다. SK텔레콤은 CEO 직속으로 AI서비스단을 운영중이며, 이 서비스단은 AI센터와 AI서비스플랫폼 투트랙으로 나눠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인공지능 이미지. [제공=알리바바그룹] 2020.05.06 swiss2pac@newspim.com

◆ '네이버·카카오·SKT', AI로 탁월한 '성과' 

국내 ICT 기업들은 AI로 기업경영에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다.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추천 시스템인 에어스(AiRS), Ai템즈(TEMS), 스마트어라운드(SmartAround)를 뉴스, 쇼핑, 장소 검색에 적용했다.

네이버 서비스에 AI 시스템이 적용되면서 뉴스 소비율과 상품클릭횟수가 급증했다. 네이버 뉴스에 에어스 접목 이후 하루 평균 페이지뷰(PV)가 기존 대비 69% 증가했다. 네이버 측은 지난해 말 기준 네이버쇼핑 이용자 80% 이상이 AI템즈를 이용중이고, AI템즈 거래액은 지난 2018년보다 2배 이상 성장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2017년 말부터 인공지능이 강화된 카카오모먼트를 시작해, 사용자 비식별정보와 행동데이터를 연결해 강력한 광고 플랫폼을 만들어냈다. 

이승훈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는 테크핀·모빌리티 빅데이터에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기존 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했다"면서 "현재 광고, 테크핀, 모빌리티, 콘텐츠 등 서비스업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을 적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멜론, 카카오페이지, 픽코마 등의 콘텐츠 플랫폼은 인공지능 기반 추천 알고리즘으로 콘텐츠 소비가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지난 2016년 국내최초 AI스피커 누구(NUGU)를 출시한데 이어, 음성인식 기술을 고도화해 T맵·T전화 등에 연계했고, AI 추천서비스를 11번에 적용시켰다.

◆ 네이버·카카오·SKT 경쟁력은 '빅데이터' 부자

이같은 배경엔 이들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빅데이터 확보가 용이한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엔 전국민 70%의 검색정보가, 카카오는 국내 메신저 시장을 독식했다. SK텔레콤은 국내 제1 이동통신사업자로 확고한 입지를 구축했다.

이 연구원은 "국내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 중심으로 인공지능 투자 강화하고 있다"며 "머신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은 빅데이터 학습을 통해 고도화되며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인사이트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는 "빅데이터가 없으면 인공지능 연구는 거의 불가능하다"며 "인공지능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훈련시킨다. 데이터로부터 배우는데, 빅데이터가 없으면 AI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겠지만, 실용적인 인공지능 개발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준균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는 "데이터가 없으면 인공지능 소용없다"라면서 "데이터가 있어야 인공지능이 돌아간다"고 데이터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I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데이터수집"이라면서 "인공지능 연구개발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해서 변환하는데 전체 비용 80%가 든다. 데이터가 정리되면 AI 돌리는 건 아무것도 아니다"고 부연했다. 문형남 숙명여대 교수 역시 "인공지능 연구에 데이터가 필수적"이라며 "데이터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인공지능 예측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이유로 글로벌 IT 기업들은 앞다퉈 빅데이터 기업 인수에 나서며,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구글은 지난 2016년 API 매니지먼트를 주력으로 하는 'Apigee'를 시작으로, 지난 2017년 빅데이터 예측분석 플랫폼 'Kaggle', 지난해 빅데이터 분석 및 BI 플랫폼 'LOOKER'를 차례로 인수했다.

애플은 지난 2018년 개인 맞춤형 뉴스앱 'Laserlike'를 사들였고, 같은해 아마존은 사이버 위협을 예측·분석하는 'sqrrl'을 계열사로 편입시켰다. 휴렛팩커드는(HPE)는 지난 2017년 예측 플래시 저장 기술을 가진 'Nimble storage', 지난해 AI 분석용 데이터 플랫폼 'MAPR'을 각각 인수했다.

최준균 교수는 "옛날 빈부차이가 생기는 것처럼 데이터를 많이 가진 기업들은 점점 그걸 갖고 권력을 휘두르게 될 것"이라면서 "데이터를 못가진 기업들은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데이터를 가진 기업과 못 가진 기업간 빈부차이가 더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형남 교수도 "기업간 빅데이터를 갖고 있느냐에 따라 기업 빈부격차는 커질 수 밖에 없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swiss2pac@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