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팬데믹에 일자리 잃은 미국인 꿈도 잃었다

기사등록 : 2020-05-08 08: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플로리다의 메이시스 백화점 화장품 코너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던 클로디아 알레잔드라는 지난 3월28일 셧다운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었다.

날벼락 같은 실직 통보를 받고 가장 먼저 한 일은 신규 실업수당 신청. 하지만 이 마저도 여의치 않았다.

10시간에 걸쳐 온라인 신청을 시도했지만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이해할 수 없는 메시지만 반복해서 돌아온 것. 해당 기관에 전화를 걸었지만 통화는 할 수 없었다.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노숙자와 빈곤층을 위해 식사와 원조를 공급하는 바워리 미션 앞에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사진=로이터 뉴스핌]

37세인 알레잔드라는 퇴직 연금에서 1년치 급여에 해당하는 800달러를 빼내 자동차 할부를 지불했지만 원룸 아파트 월세와 휴대폰 요금은 어떻게 해결할 지 막막하기만 하다.

말 그대로 입에 풀칠 하기가 힘든 상황. 열심히 근무해서 직장에서 승진도 하고, 내 집을 마련한뒤 가정을 꾸리고 싶었지만 모든 계획이 무너졌다.

7일(현지시각) 로이터는 알레잔드라와 같은 사례가 미국 전역에 속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충격에 일자리를 잃은 미국인들이 꿈도 잃어버렸다는 얘기다.

이날 미 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한 주 사이에만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317만건에 달했다. 신청자 수가 3월 하순 약 700만건에서 상당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역사적 평균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뿐만 아니라 일자리를 잃었지만 알레잔드라처럼 실업급여 신청을 하지 못하는 이들을 감안할 때 실제 실직 한파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의 경제 셧다운 이후 6주 사이 실직자는 3300만명으로 늘어났고, 최악의 상황을 모면한 직장인들 중 상당수가 임금 삭감으로 생활고를 겪는 실정이다.

소득 위기 속에 미국인들은 돌파구 마련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이다. 식비를 줄이기 위해 무료 급식 센터를 찾아 먹을거리를 구하는 한편 집주인과 연락해 월세 지급을 늦춰 달라고 사정하는 것도 실직 이후 새로운 일과가 됐다.

디트로이트에서 25년간 음식점에서 일하며 내 집 마련의 꿈을 키운 데샨 헤드릭은 실직으로 더 이상 저축도 주택 매입도 생각하기 힘든 상황이다.

실업급여를 받지 못해 모은 돈을 축내기 시작했고, 지인들이 가져다 준 즉석 수프로 끼니를 떼우며 생활비를 아끼고 있지만 월세부터 보험료, 휴대폰 요금까지 단기간에 4000달러를 웃도는 비용이 쌓였다.

평소 지병이 있는 이들에게 실직으로 인한 고통은 더욱 크다. 강직성 척수염 때문에 늘 관절과 눈, 위장에 통증을 안고 살아가는 피닉스 주민 자멜 버스는 매달 2000달러에 달하는 약값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 막막하다.

지난달 9일 일자리를 잃으면서 보험 혜택도 중단돼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고 버스는 털어 놓았다.

운 좋게 실업수당을 받는 이들도 삶이 팍팍하기는 마찬가지다. 월 8000달러의 수입을 올렸던 자동차 영업맨 프레스턴 요르옌센이 수령하는 실직 급여는 월 1340달러. 허리띠를 바짝 조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모기지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용 한파가 지속될 경우 모기지를 제 때 갚지 못해 주택을 압류 당하거나 매물로 내놓는 사례가 속출할 것이라는 데 업계의 의견이 모아졌다.

상황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월가는 4월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가 역대급으로 악화될 가능성을점치고 있다.

2200개에 달하는 일자리가 한 달 사이 사라졌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예상이 적중할 경우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기록적인 실직 한파인 80만명을 크게 웃도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시장 전문가들은 지난달 실업률이 16%로 치솟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우버가 최근 전직원의 14%에 해당하는 3700을 감원하기로 하는 등 기업들의 인력 감축이 이어지는 데다 파산과 디폴트가 급증하고 있어 근로자들의 불안감이 날로 고조되는 상황이다.

 

 

higrace5@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