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현대모비스, 커넥티드카 핵심기술 개발 성공…국내 최초

기사등록 : 2020-06-24 10: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외부 통신망으로 자동차·인프라와 실시간 연결

[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현대모비스가 자동차와 사람, 사물, 인프라를 초고속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커넥티드카 핵심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현대모비스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각종 자동차 정보를 다른 차량이나 인프라와 실시간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기능 통합관리 제어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커넥티드카 핵심 부품 '통합관리제어기'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통신 기능 통합관리 제어기는 차량에 장착된 파워트레인, 멀티미디어, 에어백, 제동장치 등의 각종 전자제어장치(ECU)를 유선 통신으로 연결해 다양한 차량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합해 분석한다. 레이더, 라이더,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로 수집되는 데이터와 자율주행 관련 대용량 데이터도 처리 가능하다.

상시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해 외부와 통신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차량원격제어와 각종 장치의 소프트웨어 자동 업데이트 등 다양한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물론, 긴급 구난 상황 발생시 사고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미래 운전환경을 크게 바꿀 것으로 기대되는 커넥티드카는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차량 내 각종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자동 업데이트해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기존 소프트웨어 오류 수정은 물론 새로운 기능과 기술을 실시간으로 기존 차량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기차의 경우 BMS(배터리관리시스템), 구동 모터, 회생제동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선을 통한 효율 향상도 가능하다.

운행 중 발생하는 다양한 돌발 상황과 자율주행에 필요한 조향 정보 등 운행데이터를 수집·축적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교통정보를 분석, 최적의 경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도착지의 주차공간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정밀지도 업데이트, 공사구간 회피 주행, 선선행차량 급정거 충돌 방지와 같은 보조 기능도 구현 가능하다.

차량의 주요 파워트레인 상태, 연비, 운전 성향 등 상세한 차량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고장 진단은 물론 통합 주차 예약, 운전 습관 연계 보험, 스마트홈 연결 솔루션, AI 지원 등 개방형 서비스 생태계도 구축할 수 있다.

커넥티드카 시장은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일본 후지경제에 따르면 2035년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 규모는 942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기존에 보유한 제동, 조향 등 핵심부품 기술과 자율주행센서, 통합 제어 기술을 융합한 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 융합 신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과 커넥티드로 대표되는 미래 자동차 기술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