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방역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공기 중 전파(에어로졸 전파)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봤다. 현재까지 감염 사례에서 공기 중 전파가 발생한다고 보기에 증거가 부족하다는 시각이다. 공기 중 전파 보다는 밀폐·밀접·밀집한 실내에서 감염 위험이 더 높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6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실내에서 접촉은 전파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외보다 위험성이 높고, 밀폐되고 밀집된 곳은 더 위험하다"고 말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사진=질병관리본부] |
공기로 전파되는 질병인 결핵은 식사나 기침을 할 때 나온 침방울(비말) 속 바이러스가 수분이 마르면 핵 형태로 남는다. 이후 공기중에 부유하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현재까지 코로나19의 전파는 비말전파와 접촉전파, 간접적인 개달물 비말핵의 공기전파와 관련해 밝혀진 바가 없다는 것이 방역 당국의 설명이다.
정 본부장은 "코로나19의 주된 전파경로는 비말전파와 접촉전파, 간접적인 개달물을 통한 접촉전파"라며 "코로나19는 아직 좀 더 밝혀져야 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작은 비말은 좀 더 공기중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고 거기서 수분이 날아가면 더 가벼워져서 떠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좀 더 설명될 부분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공기 중 전파 가능성과 관계 없이 밀폐된 실내가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실외보다는 실내가, 그 중에서도 밀폐되고 밀집된 환경이 더 위험하다"며 "작은 비말이든 에어로졸이든 실내의 밀폐된 공간에서는 장시간 체류할 수 있는 가능성,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수시로 환기시키는 것을 계속 강조해 왔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이어 "일반적인 호흡이나 대화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작은 비말들이 전염력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느냐는 부분을 조사해야 한다"며 "과학적인 연구결과를 모니터링하면서 예방수칙 변경의 필요성이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호주 브리즈번 소재 퀸즐랜드공과대의 대기과학 및 환경엔니지어링 전문가인 리디아 모로스카 교수는 "코로나19의 에어로졸 감염을 100% 확신한다"는 내용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 공개서한을 보냈다. 32개국 239명의 과학자들이 이 서한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allzero@newspim.com